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두드러기2

탱자술 복용하면 두드러기 낫는다. - 癮疹 두드러기를 은진(癮疹)이라고 하며, 육류, 생선, 달걀, 우유 등의 식품, 약품, 장내(腸內) 기생충(寄生蟲)에 의한 알레르기 때문에 생기는 경우와 소화기(消化器), 간(肝)기능 등의 이상 또는 신경성(神經性), 정신성(精神性) 장애, 과로(過勞) 등으로 생긴다. 피부(皮膚)가 붉거나 희게 두툴두툴하게 부풀어 오르면 가렵기가 이만저만 아니다. 때로는 외부적인 원인, 예컨대 벌레에 쏘였을 때 태양광선, 물 또는 얼음, 차가운 바람 등이 피부(皮膚)에 자극을 주어 생기기도 한다. 왜 생겼는지 전혀 원인을 모를 때도 있으므로 두드러기는 대수롭지 않은 것 같으면서도 본인에게는 그런 고통이 또 없다. 두드러기 발진(發疹)이 온 전신에 생기면 열(熱)이 나고 기관지(氣管支) 점막(粘膜)에 부종(浮腫)이 생겨.. 2025. 10. 5.
두드러기(Urticaria, Hives) 우리 몸 조직(組織)은 이 땅과 같아서 비가 오면 온 대지를 모래알 하나까지 다 적시고 지하수나 강물이 되어 바다에 모이면 다시 증발하여 구름과 비가 되어 또 대지를 적시듯이 몸속의 오장육부(五臟六腑)에서 바깥 피부(皮膚)에 이르기까지 생기가 품어냈다가 다시 거두어들이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 그런데 피부는 몸을 싸고 있는 보자기와 같아서 바깥 공기를 막고 우리 체온을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내장(內臟)에서 품어낸 기운이 피부에서 순조롭게 돌아오지 못하고 충격이 되면 거기서 생기는 현상이 두드러기이다. 즉 굵은 혈관(血管)이 아니라 피부의 모세혈관(毛細血管)과 신경(神經)에 관계되는 피부병(皮膚病)이다. 그 원인으로 첫째가 음식(飮食) 관계이다. 위(胃)나 소장(小腸)의 움직임이 좋지 못하면 충.. 2023. 8.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