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당뇨식1 보리밥은 오장(五臟)을 튼튼하게 한다. - 五穀之長 요즘 일본(日本)에서는 보리밥이 성인병(成人病) 예방 또는 치료약이 된다고 하여 보리 혼식(混食)이 크게 보급되고 있다. 쌀이 남아서 수출하는 형편이니 쌀 모자라는 것을 보충하기 위해서 억지로 보리 혼식(混食)을 권장하는 것이 아니다. 보리밥을 먹으면 장내(腸內) 세균(細菌)의 번식이 잘되어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비타민-B5)과 비타민-B6 등이 많이 생겨 그것이 혈관(血管)의 탄력성을 좋게 하여 주는 결합질 생성에 없어서는 아니 될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쌀밥을 먹으면 바로 혈당(血糖) 수치가 상승된다. 그러나 보리밥은 그런 폐단이 없기 때문에 당뇨식(糖尿食)으로 좋다는 것도 이미 상식이 되어 가고 있다. ‘糯米 : 令人多熱 大便堅 壅諸經絡氣 使四肢不收 發風動氣.. 2025. 7.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