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다뇨2

나이에 따라 소변량(小便量)이 다르다. - 小便多寡 하루에 배설(排泄)하는 소변(小便)의 분량은 계절(季節), 기온(氣溫), 건강(健康) 상태, 수분(水分) 섭취량 등에 따라서 변동이 있지만 대체로 건강한 어른은 하루에 맥주병 2개 정도(1,000~1,500㏄)가 보통이다. 맥주병 3개(2,000㏄) 이상이 될 때는 다뇨(多尿)이며 소변(小便)이 맹물처럼 묽게 된다. 5개 이상(3,000㏄)이 되면 틀림없는 병(病)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하루의 횟수도 4~5회 정도가 보통이고 간격은 약 5~6시간인데, 이보다 횟수가 많으면 빈뇨(頻尿)라고 할 수 있다. 당뇨병(糖尿病)이나 노인(老人)의 전립선비대증(前立腺肥大症) 도는 신장위축(腎臟萎縮) 등이 있으면 소변(小便) 횟수가 많아지고 특히 밤에 소변(小便)이 잦은 것은 심장기능부전증(心臟機能不全症)이 .. 2025. 7. 14.
당뇨병(糖尿病), 두려울 것이 없다. 한의학(韓醫學)에서는 당뇨병(糖尿病)을 간장(肝臟)의 소설(疏泄) 장애로 당(糖) 생성과 분해에 이상이 있거나, 위장(胃腸), 대장(大腸), 췌장(膵臟) 등 내장기의 열(熱) 축적에 따른 번열(煩熱)과 영양물질이나 호르몬 등 음액(陰液)이 부족한 상태인 음허(陰虛)에 의해 삼초(三焦) 기능에 장애가 와서 삼초(三焦) 부위에 발생하는 전신성, 복합성, 만성 소모성 질환으로 보고 있다.  삼초(三焦)는 기체 대사를 하는 상초(上焦), 수분 대사를 하는 중초(中焦), 호르몬 대사를 하는 하초(下焦) 등 인체의 상중하부에 있는 기능계를 말한다.  당뇨병(糖尿病)은 병의 진행 시기와 경과 기간, 발병 원인, 발병 연령 등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르다.  그리고 식후 2시간의 혈당치가 120㎎/100㎖을 넘으면,.. 2024. 8.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