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인건강1 노인(老人)에게 함부로 약(藥)을 써서는 안 된다. - 牛乳粥 1982년이 ‘노인(老人)의 해’라고 하여 세계보건기구 주최로 세계노인회의가 개최된 적이 있다. 요즘 우리나라도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노인(老人) 인구가 늘어나고 있어 보건 및 복지 문제가 크게 부각되어 가고 있다. 노인(老人)이 되면 모든 기능이 쇠퇴하게 마련인데, 노쇠(老衰)현상을 표현한 것이 한편으로 신랄하기도 하고 우습기도 하다. ‘帝哭無淚 笑反有淚 鼻多濁涕 耳作蟬鳴 吃食口乾 寐則涎溢 溲尿自遺 便燥或泄 晝則多睡 夜臥惺惺不眠 此老人之病也’ 울어도 눈물이 나오지 않는 대신 웃으면 눈물이 나고, 콧물이 많아지고, 귀가 울리고, 밥을 먹을 때는 침이 말라 괴로운데 자려고 누우면 침이 흘러넘치고, 소변(小便)도 모르는 사이에 실수하게 되고, 대변(大便)은 변비(便祕) 또는 설사(泄瀉)를 하며, 낮에는.. 2025. 4.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