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포2

지나친 감정(感情) 표현은 건강(健康)을 해친다. - 常法治驚 “내 마음은 호수요 그대 저어오오. 나는 그대의 그림자를 안고 옥같이. 그대의 뱃전에 부서지리다.” 이런 시 구절이 머리에 떠오른다. 사람의 마음은 아닌 게 아니라 호수의 수면과 같다. 세상풍파 어떤 일이 닥쳐도 명경지수(明鏡止水)의 항상심(恒常心)을 지닐 수 있다면 그 얼마나 좋겠는가? 그러나 일상생활의 환경 변화, 그 중에서도 특히 인간관계의 변동으로 호수의 수면에 파도가 일게 마련이다. 파도의 종류에 따라 희(喜), 노(怒), 우(憂), 사(思), 비(悲), 공(恐), 경(驚)의 일곱 가지 감정(感情) 변화가 생기며 이와 같은 칠정(七情)이 지나치거나 편승되면 인체의 내장(內臟)에 대하여 불리한 영향을 끼쳐서 병(病)이 된다고 하였다. 이 중에서 ‘경(驚)’은 예기치 않았던 비상사태(非常.. 2025. 9. 8.
건강한 정신(精神)은 완전한 건강(健康)을 선물한다. 건전한 육체(肉體)는 정신(精神)을 더욱 건전하게 한다.  정신(精神)이야말로 건전한 육체(肉體)의 밑거름이 된다.  그래서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도 인체에 가장 필요한 세 보물로 정(精), 기(氣), 신(神)을 들고 있다.  그리고 우리말에도 ‘정신(精神)이 나가다.’, ‘넋이 빠지다.’하여 정신(精神), 넋이 건전치 못하면 육체적으로도 얼마나 건전치 못한 증상들이 나타나는지를 여실히 표현하고 있다.  ‘간이 콩알만 하다.’, ‘쓸개 빼진 놈’, ‘심보 사납다.’, ‘비위 거스른다.’, ‘허파에 바람 든다.’하는 말로써 육체적 여러 증상들이 모두 정신(精神)의 건전성이나 불건전성에 의해 좌우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여기고 있을 정도이다.  한의학(韓醫學)에서는 기쁨, 노여움, 슬픔, 공포 등 일곱 가지 정.. 2025. 3.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