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각기병2

쌀만 먹으면 각굴불능행(脚屈不能行) 한방(韓方)에서는 약효나 식물로서의 가치를 그 맛이 무엇인가를 보아 알 수 있다는 이론 체계를 가지고 있다. 신 것(酸), 쓴 것(苦), 단 것(甘), 매운 것(辛), 짠 것(鹹) 등 다섯 가지 맛 중의 어느 맛이냐를 알면 신 것은 간(肝)을 돕고, 단 것은 비장(脾臟)을, 쓴 것은 심장(心臟)을 돕는다는 등인데, 이런 식의 표현은 얼른 납득이 가기 힘들다. 칼슘이 많이 들어 있으므로 뼈에 좋고, 철분이 많으니까 빈혈(貧血)에 좋고, 비타민-A가 많으므로 눈에 좋다는 등이 오늘날의 과학적인 표현이다. 과연 약(藥)이나 음식물의 가치를 오미(五味)로 따질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아직도 과학적으로 뭐라고 말할 수 없다. 그러나 한 가지 엄연한 사실은 동물들이 자기 생명을 유지할 음식물을 선택하고 먹어.. 2025. 10. 22.
약(藥)이 되는 곡류 검은콩 끓인 물은 해수(咳嗽), 천식(喘息)에 좋다. 검은콩은 해독(解毒)작용이 뛰어나며 신장(腎臟)기능을 보양하고 강정(强精)작용과 피를 맑게 해준다.  그래서 부스럼, 종기(腫氣)가 잘 나는 체질은 검은콩을 꾸준히 섭취하도록 한다.  검은콩을 어떻게 먹으면 좋을까?  검은콩 가루를 날 것 그대로 4g씩, 1일 3~4회 온수로 장복하여 독(毒)을 풀고 체질을 개선하는 방법이 좋으며, 부석부석 잘 부으면 검은콩 삶은 물을 수시로 마시고, 정력(精力)이 쇠약하면 검은콩 자반을 상복하고, 산후(産後)에 피가 탁하고 어지러울 때는 형개(荊芥)라는 약재 끓인 물속에 뜨겁게 볶은 검은콩을 넣어 우려내어 마시면 좋다.  또 검은콩 끓인 물은 해수(咳嗽), 천식(喘息)에도 좋은데, 흔히 설탕을 넣고 끓이면 독특한 냄.. 2024. 12.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