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과 음식

스태미너식 잉어 닭 무침

by 예당한의원 2025. 3. 31.
반응형

야생에서 채취를 한 닭과 오이, 파 등을 고추장과 함께 버무려서 무친 닭무침을 하얀 그릇에 놓아두고 찍은 사진
닭무침

 닭, 표고버섯, 대추(大棗), 인삼(人蔘)을 함께 끓여 닭을 건져낸 후, 피를 빼고 비늘을 긁어낸 잉어를 넣고 다시 푹 끓여 여기에 앞서 건져낸 닭고기를 찢어 무친 것을 지단과 함께 얹어 먹는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잉어를 담은 그물망을 바닥 위에 놓아두고 확대를 하여 찍은 사진
잉어

 잉어는 잘 알려진 절륜식품(絶倫食品)이다.

 

 양질의 고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amino acid)의 조성만 보더라도 이를 수긍할 수 있다.

 

 아르기닌(arginine), 히스티딘(histidine), 라이신(lysine)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잉어탕을 스태미너식으로 손꼽았으며, 어백전계편이라 하여 잉어와 참개구리를 함께 요리하여 먹는 음식이 있었는가 하면 용봉탕(龍鳳湯)이라 하여 잉어와 닭을 함께 요리한 음식도 있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인삼 뿌리를 깨끗하게 세척을 한 후에 건조시킨 것을 하얀 바닥 위에 2뿌리 포개서 놓아두고 찍은 사진
인삼

 용봉탕(龍鳳湯)에 인삼(人蔘)을 배합하면 인삼용봉탕(人蔘龍鳳湯)이 되는데 이는 기가 막힌 스태미너식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