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과 음식

잣은 임산부(姙産婦)와 태아(胎兒)를 편안하게 해주는 안태(安胎)식품이다.

by 예당한의원 2025. 3. 11.
반응형

야생에서 채취를 한 잣나무의 잎과 잣솔방울을 검은 바닥 위에 두고 그 밑에는 바닥과 나무숟가락과 고동색의 동그란 그릇에 깐 잣과 껍질 그대로의 잣을 각각 담아두고 찍은 사진

 잣은 열량(熱量)이 높고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이 많은 식품이다.

 

 그래서 정월대보름 전야제는 잣 12개를 꿰어 불을 붙이는 잣불잔치로 시작된다.

 

 이처럼 잣은 빈혈(貧血), 고혈압(高血壓), 정력쇠약(精力衰弱)의 묘약이며 피부미용제(皮膚美容劑)이고 호흡기(呼吸器) 보강식품이고, 임신부(姙娠婦)와 태아(胎兒)를 편안케 하는 안태(安胎)식품이다.

 

 변비(便祕)와 신경통(神經痛)에도 좋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잣을 껍질을 까고 갈아서 쌀과 함께 만든 잣죽을 분홍색 바닥 위에 대나무로 만든 깔판과 직물 위에 동그란 그릇에 가득 담아두고 옆에 나무숟가락과 잣을 반쯤 담은 동그란 그릇을 두고 찍은 사진
잣죽

 잣죽이 보편적인데 잣의 눈을 떼고 프라이팬에 살짝 볶은 뒤 불린 쌀과 섞어 믹서에 곱게 간 다음 거즈에 걸러내어 중불로 서서히 끓이고 먹을 때 소금으로 간을 한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땅콩을 겉껍질을 깐 후에 붉은 속껍질은 그대로 둔 채로 바닥 위에 고동색의 동그란 그릇에 가득 담아두고 나무 숟가락을 꼿아 놓고, 그 옆에 바닥에 땅콩을 10여개 놓아두고 찍은 사진
땅콩

 땅콩을 장생과(長生菓)라고 하는데 많이 먹으면 나이보다 젊어지고 정력(精力)이 세지며 장생강건(長生健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레시틴(lecithin)이 풍부하여 인슐린(insulin) 분비를 촉진하고 간()기능을 강화하며 혈액순환(血液循環)을 돕고 잇몸을 튼튼하게 하며 기침을 다스려준다.

 

 땅콩 날 것을 껍질 벗기고 짓이겨 300g에 물 한 사발을 부어 달이면서 기름을 걷어내고 설탕을 조금 넣고 계속 달여 한 공기 가량으로 줄면서 우유처럼 되면 불에서 내려 취침전과 아침 기상 때 반씩 나누어 복용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