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삼사과생즙이 빠른 회복을 돕는다.
인삼(人蔘)은 기(氣)를 돋구는데 으뜸가는 약이다.
기(氣)란 생체의 에너지원이며 질병을 이겨내는 저항력이고 각 조직(組織)과 세포(細胞)를 정상화하고 재생시키는 힘이며 영양(營養)과 혈액(血液)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추진력이다.
까닭에 이런 기(氣)를 돋구는 인삼(人蔘)을 수술 후 먹으면 회복이 빠르다.
특히 인삼(人蔘)의 사포닌(saponin)에는 세포활력(細胞活力)작용이 있다.
세포활력(細胞活力)작용은 상처를 빨리 회복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수술 후 인삼(人蔘)을 먹으면 수술상처가 빠르게 아문다.
하루에 인삼(人蔘) 6~12g씩을 물 300~500㎖에 넣고 끓여 반으로 줄어들면, 불에서 내려 하루 동안 차(茶)처럼 마시면 된다.
혹은 수삼(水蔘)을 믹서에 갈아 생즙(生汁)을 내어 마셔도 좋다.
하루 30~40g정도가 적정량이다.
수삼(水蔘) 생즙(生汁)을 만들 때 사과 3~4개를 함께 넣어 갈면 더 좋다.
사과는 병문안용으로 가장 인기 있는 과일인 만큼 환자의 식욕(食慾)을 돕고 혈액순환(血液循環)을 촉진하며 변통(便通)을 좋게 하고 영양(營養)을 보충해주기 때문이다.
사과는 껍질째 가는 것이 더 좋다.
흐르는 물에 씻은 후 식초를 탄 물에 다시 씻어 소독하면 껍질째 갈아도 안심할 수 있다.
그러나 복부(腹部) 수술을 한 뒤에는 사과를 먹지 않도록 한다.
복부(腹部)에 가스가 차기 쉽기 때문이다.
2. 복부(腹部) 수술에는 잉어죽을 먹는 것이 좋다.
복부(腹部) 수술 후에는 잉어죽이 좋다.
잉어 한 마리 통째에 깐 마늘 2통, 껍질째 씻은 생강(生薑) 1톨을 넣고 푹 고은 뒤 꼭 짜서 그 물에 쌀을 넣어 죽을 쑨 다음 소량의 소금으로 간을 해서 먹는다.
잉어죽은 수술 후의 기력(氣力) 회복에 무척 좋다.
수술 후 복부(腹部)에 가스가 차거나 소화(消化)가 안 될 때 또는 부석부석 잘 붓거나 관절(關節) 마디마디가 부으면서 아플 때도 좋다.
특히 제왕절개(帝王切開)로 출산(出産)한 후에 무척 좋다.
혹은 잉어 큰 것 한 마리의 내장(內臟)을 빼내고 씨를 뺀 대추(大棗) 50개를 뱃속에 넣고 삶아 그 물을 이틀에 걸쳐 6회 나누어 마신다.
하루 3회 공복에 마시면 된다.
기력(氣力) 회복에도 좋고 신경(神經)을 안정시켜 숙면(熟眠)을 취하게 해주며 소변(小便)을 잘 보게 하는 역할도 한다.
복부(腹部) 수술 후 소변(小便)이 시원치 않을 때는 유자씨로 차(茶)를 만들어 마시면 좋다.
유자씨 35g을 프라이팬에서 노릇해질 때까지 볶아 7일간 나누어 마신다.
대략 하루 양이 5g 정도 된다.
이것을 뜨거운 물에 넣어 5분간 우러나게 한 후 마시면 된다.
3. 빈혈(貧血)에는 우유식초를 마시면 좋다.
수술 후 빈혈(貧血)에는 우유식초를 마시면 좋다.
우유 한 컵에 3큰 술의 식초를 조금씩 부어가며 섞으면 마시는 요구르트 같아진다.
맛도 단맛만 없을 뿐 요구르트와 비슷해진다.
이것을 마시면 칼슘이 눈에 띄게 증대가 된다.
그래서 빈혈(貧血)에 좋고 특히 뼈 수술 후에 회복이 빨라진다.
이때 우유식초에 녹차(綠茶) 분말을 타서 마시면 카로틴, 비타민-B, C, D, E, 철분, 칼륨, 칼슘, 탄닌 등을 고스란히 섭취할 수 있다.
빈혈(貧血) 뿐 아니라 수술 후 원상회복시키는 데도 큰 도움이 된다.
수술 후 변비(便祕)에도 좋다.
수술 후 변비(便祕)에는 연근조림을 많이 먹도록 한다.
연근에는 야채로서는 드물게 비타민-B12가 함유되어 있는데, 이 성분은 혈액(血液)을 만드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성분이며 장내 유산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비타민이므로 수술 후 빈혈(貧血)에 좋다.
연근 생즙에 소금을 조금 타서 1회 100㎖씩 마시면 더 좋다.
연근 생즙은 지혈(止血)작용도 있다.
수술 후 출혈(出血)은 멈췄지만 분비물이 계속 흐르면서 잘 아물지 않을 때 도움이 된다.
뼈 수술 후에 우유식초가 좋다고 했지만 더 좋은 것은 식초 200㎖에 날계란 한 개를 씻어 물기를 제거하고 껍질째 넣어 상온에서 1주일 보관한 후 껍질 내부의 얇은 막을 건져내고 남아 있는 계란과 식초를 잘 저어 섞어 하루에 10~20㎖씩 마시는 것이 좋다.
계란식초는 어떤 수술 후에도 좋다.
'질병과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이 냉(冷)한 사람들이 먹는 약닭 (3) | 2025.03.26 |
---|---|
손버릇 나쁜 세 아들 이야기 (4) | 2025.03.17 |
잣은 임산부(姙産婦)와 태아(胎兒)를 편안하게 해주는 안태(安胎)식품이다. (3) | 2025.03.11 |
겨울 감기, 이렇게 다스리면 된다. - (2) (3) | 2025.02.06 |
겨울 감기, 이렇게 다스리면 된다. - (1) (3)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