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방 칼럼

저리면 중풍(中風)이 되는가?

by 예당한의원 2023. 8. 21.
반응형

발이 저려서 다른 사람이 발저린 곳을 지압을 통해서 맛사지를 하고 있는 사진
발 맛사지

 그 동안 괜찮다가 손발이 저리면 더러는 이게 중풍(中風) 시초가 아닌가 하고 황급히 한의원(韓醫院)에 뛰어오는 분들이 있다.

 

 그러나 저린 증세는 사실 매우 흔한 것으로 모두 중풍의 시초인 것은 아니다.

 

 왜 저린가?

 

 우리는 저린 것을 잠깐 동안에 직접 경험할 수도 있다.

 

 우리가 꿇어앉거나, 팔을 베고 잠이 들면 손이 저릴 때가 있다.

 

 이것은 팔이나 다리를 누르고 있으니 혈관(血管)계통과 신경(神經)계통과 근육(筋肉)계통이 눌려 통하지 못해서 저린 것이므로 눌린 것을 풀어버리면 괜찮아진다.

 

 잠깐만 방에 앉아 있어도 자세를 뒤척이는 사람은 팔다리 혈행이 왕성하지 못한 것이고, 한참을 앉아 있어도 괜찮은 사람은 혈액순환이 잘 되는 건강체인 것이다.

 

 이렇게 못 통하는 것이 좀 더 심해지면 저리는 것을 넘어서서 마비가 되기도 하고 영 막혀 버리면 조직이 썩기도 한다.

 

 이런 원리.

 

 우리 몸이 하나의 생명력으로써 통해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저린 원인이 꿇어앉았을 때처럼 부분적이고 국소적인 경우도 있고, 내장(內臟)이나 뇌()나 척수(脊髓)에 원인이 있어 말초(末梢)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걸 찾아내기 위해 자세히 물어보고 관찰도 하고 진맥(診脈)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둑이 제 발 저린다.’는 속담처럼 사람이 당황하고 부끄러울 때 손에 땀이 나기도 하고 손발이 저리기도 한다.

 

 이것은 마음이 졸이니 팔다리까지 생명력을 밀어주지 못하는 것이다.

 

 평소 위장(胃腸)이 약한 사람이 어느 날 또 체하면 손발이 싸늘해지면서 저려오는 것은 위장이 활동이 안 되니 역시 팔다리까지 혈액순환을 시켜 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피곤을 잘 느끼는 사람이 육체활동을 하면 조직에 피로가 와서 특히 밤 되면 저린 것을 잘 느끼는 것은 꼭 어느 내장 뿐 아니라 몸 전체 원기부족(元氣不足), 낮에 많이 쓴 팔이나 다리에 나타나는 것이다.

 

 허리를 다쳤는데 다리까지 저리고 당기는 것은 허리에서 다리로 연결되어 있는 신경이 상해서 다리까지 통해주지 못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여러 원인에 의해 팔 다리에 저린 증세가 나타나므로, 이 모두를 중풍전조증(中風前兆症)으로 볼 필요는 없다.

 

머리에 갑작스러운 충격이 와서 발생되는 뇌졸중을 연상하게 하는 사진
뇌졸중

 일반인에게도 상당히 알려져 있는 이야기가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실려 있다.

 

 ‘둘째와 셋째 손가락이 감각이 둔해져 마비가 오면 삼년 안에 중풍(中風)이 될 징조라고 되어 있다.

 

 아닌 게 아니라 돈을 세다가 혹은 책장을 넘기다가 손가락 감각이 없어지는 걸 느낌과 동시에 혼수상태(昏睡狀態)에 빠지는 뇌경색(腦硬塞)이나 뇌출혈(腦出血)도 있고, 감각이 좀 어둔해지다가 10~20분 사이에 슬그머니 괜찮아져버리는 일과성뇌허혈(一過性腦虛血) 증상도 있다.

 

 그러나 이것은 손가락 감각이 둔해지는 것 이외에도 평소 여러 가지 이상을 찾을 수 있다.

 

 단순히 넓은 의미로 손발이 저리다는 것이 모두 이런 중풍(中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당황하지 말고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순서이지, 미리 겁이 나서 진찰을 기피하든지 해서는 안 된다.

 

 가까운 한의원(韓醫院)에 가서, 보다 자세히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반응형

'한방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척추측만(脊椎側彎), 디스크(Disc)  (0) 2023.08.23
눈의 피로(疲勞)  (8) 2023.08.22
잘 달래자  (0) 2023.08.20
비듬(Dandruff)  (0) 2023.08.19
한약(韓藥)과 중금속(重金屬) 오염(汚染)  (0) 2023.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