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쾌식2 밥이 보약(補藥)이듯 밥상 위에는 보약(補藥)이 수두룩하다. 밥이 보약(補藥)이라는 말이 있다. 뭐든 잘 먹고, 달게 먹고, 소화(消化)가 잘 되면 그게 보약(補藥)이라는 말이다. 쾌식(快食)이 보약(補藥)이요, 온갖 음식이 보약(補藥)이라는 말이다. 중국 고대 은나라 시대에는 요리사 출신인 이윤(伊尹)이라는 분이 재상으로 발탁되었으며, 주나라 때는 영양 담당 관리 의사인 ‘식의(食醫)’까지 둘 정도로 음식을 최고의 보약(補藥)으로 여겼다고 한다. 그래서 한나라 때는 장영(蔣瑩)이 식경(食經)>을 저술했고, 청나라 때는 원매(袁枚)가 수원식단(隨園食單)>을 펴내면서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건강에 좋다는 보약(補藥) 음식을 수없이 개발하면서 이를 보급하고, 아울러 어떻게 하면 음식을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게 섭취할 수 있을까 하는 방법까지 제시하고 있.. 2024. 12. 18. 당뇨병(糖尿病) 치료의 제1은 ‘3쾌 요법’이다. 당뇨병(糖尿病)은 좌절하지 말고 인내심으로 투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당뇨수치에 희비가 엇갈려도 안 되고, 조절이 잘 안된다고 자포자기해서도 안 되며, 약물이나 인슐린에 의존하는 것 못지 않게 식이요법(食餌療法)과 운동요법(運動療法)도 절대적이지만 욕심 없는 ‘허심(虛心)’으로 꾸준히 투병해야 한다. 이런 까닭에 ‘3쾌 요법’을 제일로 손꼽는다. 즉 쾌면(快眠), 쾌식(快食), 쾌변(快便)의 3가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쾌면(快眠)이란, 상쾌한 숙면(熟眠)을 비롯해서 충분한 휴식(休息), 그리고 규칙적인 운동(運動)을 포괄한다. 이것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약물로 당뇨병(糖尿病)을 다소 안정시킨다 해도 근본적으로 개선시킬 수는 없다. 쾌식(快食)은 일종의 식이요법(食餌療法)을 말한다.. 2024. 11.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