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참기름4

참기름을 항문(肛門)에 넣으면 변(便)이 통한다. - 導便法 관장법(灌腸法)이라는 것이 있다. 어린아이가 오랫동안 대변(大便)을 보지 못했을 경우 약액(藥液)을 항문(肛門)으로 주입해 주면 그 자극에 의하여 변(便)이 나오게 되는 방법이다. 소아뿐만 아니라 어른에게도 관장(灌腸)을 하며 또 관장(灌腸)의 목적도 변(便)이 나오게 하기 위한 배변관장(排便灌腸)뿐만 아니라 입으로 영양분을 섭취하지 못할 경우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영양관장(營養灌腸) 및 직접 치료에 필요한 약(藥)을 주입해 주기 위한 치료관장(治療灌腸) 등의 세 가지 목적으로 나눌 수 있다. 관장법(灌腸法)을 서양에서 개발된 치료법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우리 조상들도 벌써부터 관장법(灌腸法)을 응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관장(灌腸) 기술의 개발역사를 따지는 것 한 가지만 깊이 캐어 들어가도.. 2025. 8. 2.
기름을 줄이자. 살찌게 하는 가장 큰 원인이 기름. 즉, 지방(脂肪)이다. 그런데 눈에 보이는 기름은 다이어트를 위해 쉽게 줄이지만, 음식 안에 녹아 있는 숨어있는 기름은 피하기가 어렵다. 이 기름을 피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 눈에 보이지 않는 기름을 조심한다. 식품에 들어 있는 영양소 중에서 칼로리를 갖는 것은 3대 영양소라 불리는 지질(脂質), 당질(糖質), 단백질(蛋白質)이다. 그 중에서도 지질(脂質)에는 당질(糖質)과 단백질(蛋白質)의 2배 이상이나 칼로리가 높다. 또 지질(脂質)에는 조리에 사용되는 샐러드기름이나 버터 같이 눈에 보이는 유지(油脂) 외에 고기나 생선, 유제품, 조미료 등에 들어 있는 눈에 보이지 않는 유지(油脂)도 조심해야 한다. 이런 유지(油脂)들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많이 먹게 된다. 건.. 2024. 4. 3.
참깨를 이용한 음식보약 “땀을 많이 흘릴 때 도움이 된다.” ◉ 밀가루는 정제하지 않은 것이 좋다. 호박잎으로 즙을 내어 밀가루 반죽에 섞고 깻국을 부어 먹는 호박잎 국수는 별미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이라 영양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식품들의 배합이다. 호박잎에는 단백질, 당질, 섬유질, 칼슘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고, 비타민-B2도 호박보다 많이 들어 있어 어린잎을 따서 찜통에 찐 다음 쌈을 싸서 먹어도 좋다. 국수 재료인 밀가루 역시 성질이 찬 식품으로 땀을 많이 흘릴 때 먹으면 좋고, 대변(大便) 소통을 원활하게 해 준다. 정제할수록 영양분이 적어지므로 가능하면 껍질과 배아를 함께 제분한 통밀가루를 사용하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 밀가루의 중요 성분은 칼로리원으로 우수한 식품이다. 단백질은 쌀의 2배 가깝게 들어 있고,.. 2024. 3. 4.
소고기와 깻잎 “영양(營養)을 보완하고, 암(癌)을 예방한다.” ◉ 이런 점이 좋아요. 고기를 먹을 때 야채를 곁들여 먹으면 맛은 물론 영양(營養) 면에서도 좋은 효과가 있다. 특히 깻잎은 소고기와 아주 잘 어울리는 식품이다. 소고기에는 성장(成長)에 꼭 필요한 모든 아미노산이 골고루 들어 있지만, 칼슘과 비타민-A는 거의 들어 있지 않다. 반면, 깻잎에는 소고기에 거의 없는 칼슘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A, C가 많을 뿐 아니라, 철분도 소의 간(肝)과 비슷할 정도로 많이 들어 있다. 이처럼 소고기와 깻잎은 영양(營養) 면에서 상반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서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영양(營養)의 균형을 이룬다. 또한 소고기를 먹을 때 깻잎에 즐겨 싸 먹듯이 맛도 아주 잘 어울린다. 소고기만 먹으면 느끼하고 텁텁해 금.. 2024. 1.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