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위장8 식욕(食慾)이 없으면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야 한다. - 不嗜飮食 소화(消化)기능과 식욕(食慾)은 전신 건강상태의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당뇨병(糖尿病)처럼 식사조절을 해야 할 경우에 너무 병적으로 식욕(食慾)이 좋아서 곤란한 예외도 있다. 그러므로 소화(消化)기능이 약해지고 식욕(食慾)이 신통치 않은 것을 단순히 위장병(胃腸病)으로 생각하여 소화제(消化劑)로 다스릴 것이 아니라 보다 더 근본적인 원기(元氣) 회복의 방법을 강구하여야 한다. ‘不嗜飮食 由下元陽衰 : 不進食 服補脾藥不効者 蓋腎氣怯弱 眞元衰削 是以不能消化飮食 譬之鼎釜之中置諸米殺 下無火力 終日米不熱其何能化’ 식욕(食慾)이 떨어져서 구미(口味)가 없는 것은 하초(下焦)의 원기(元氣)가 쇠약하기 때문이다. 식욕(食慾)이 없을 때 비위(脾胃)를 보(補)해 주는 약(藥)을 써 봐도 효과가 나타나지 .. 2025. 8. 24. 불섭생, 근심, 무절제가 원인 - 內傷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약(藥)이 소화제(消化劑)이다. 소화제(消化劑)는 소화불량(消化不良)에 사용하는 약(藥)이 아니냐고 하면 그만이지만 소화불량(消化不良)이 도대체 어떤 병(病)이냐고 하면 대답이 막힌다. 원인이 분명한 위장장애(胃腸障碍), 예컨대 음식을 잘못 먹었거나 술을 과음(過飮)한 후에 음식이 체(滯)해서 잘 내려가지 않아 트림이 나고 가슴이 답답한 것을 급성소화불량(急性消化不良)이라고 한다면, 이렇다 할 뚜렷한 위장병(胃腸病)도 없이 식욕(食慾)이 없고 먹은 것이 잘 내려가지 않아 전신(全身)에 기운(氣運)이 없는 사람들이 흔히 자기는 위장(胃腸)이 약해서 소화불량(消化不良)이 있다고 하는 경우는 만성소화불량(慢性消化不良)이라고 할 수 있다. 소화불량(消化不良)은 하나의 증상이지.. 2025. 8. 23. 위(胃)가 튼튼해야 약(藥)도 듣는다. - 勿傷胃氣 병(病)을 고치는 약(藥)이라는 것이 대체로 독성(毒性)이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그 독성(毒性)을 이용하여 병(病)을 공격(攻擊)함으로써 치료(治療)하게 되는 것이다. 약(藥)을 무기로 비유하는 경우도 있는데 적군을 물리치는 작용이 있는 반면 잘못 휘두르면 때로는 엉뚱한 사람을 다치게 하는 수도 있다는 것을 경계하여야 한다. ‘勿傷胃氣 : 凡治雜病 先調其氣 次療諸疾 無損胃氣 是其要也 若血受病亦先調氣 謂氣不調則血不行 又氣爲之綱 卽夫也 夫不唱婦不隨也’ 위(胃)를 손상시켜서는 안 된다. : 모든 잡병(雜病)을 다스릴 때 우선 기운을 차리게 한 다음에 병(病)을 고치도록 하며 위(胃)의 소화(消化)기능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혈(血)에 병(病)이 생기면 먼저 기운을 북돋아주어야 하는.. 2025. 8. 5. 얼굴을 찌푸리면 위(胃)도 찌푸린다. - 樂而侑食 요즘 블루투스 헤드폰이 유행하여 책을 읽으면서도 음악(音樂)이요, 길을 걷다가 자동차를 운전하면서도 노상 귀에서는 음악(音樂)이 들려오게 하는 것이 유행하고 있다. 연구실에서 실험을 할 때에도 음악(音樂)이 있으면 능률이 나고 심지어는 양계장(養鷄場)에서 음악(音樂)을 은은하게 들려주면 산란율(産卵率)이 증가된다는 이야기도 있다. 하여튼 음악(音樂)이 사람의 마음이나 신경에 영향을 주는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음악요법(音樂療法)이라는 것이 있어 불면증(不眠症)인 어린아이에게 쇼팽의 왈츠 곡을 들려주었더니 잠이 들었다든가, 열병(熱病)환자에게 조용한 음악 리듬을 들려주면 열(烈)이 내리는 작용을 하였으며, 차이코프스키의 심포니가 강심(强心)작용과 혈압강하(血壓降下)작용을 나타내었다는 등의 발표가 .. 2025. 7. 26. 약한 비위장(脾胃腸) 다스리기 소화기(消化器)가 냉(冷)하면 계피차(桂皮茶)나 생강차(生薑茶) 또는 쑥차를 마신다. 이들 약차(藥茶)들은 소화(消化), 흡수(吸收)를 증강시켜 간접적으로 열량을 보충시켜 준다. 단, 쑥차는 월경(月經) 중엔 금한다. 반대로 소화기(消化器)에 열(熱)이 있어 번거롭고 갈증(渴症)이 나면 댓잎 20g을 차로 끓여 마신다. 그리고 염증성 열(熱)이 있으면 치자(梔子) 또는 황백(黃柏) 각 4g을 거름통 있는 찻잔에 넣고 뜨거운 물을 부은 다음 뚜껑을 덮고 5분 정도 지난 후 우러난 물만 마신다. 이것은 항균(抗菌) 및 위장관(胃腸管)운동을 증강시키고 소염(消炎) 및 체내 독소(毒素)에 의한 중독(中毒)을 푼다. 소화(消化)가 안 될 때에는 보리길금 20g을 끓여서 마시거나 식혜를 먹는다. 특히 .. 2024. 5. 25. 위장(胃腸)이 약하면 이런 증상이 있다. 위장(胃腸)은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창고 같기에 ‘태창(太倉)’이라 하며,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바다 같기에 ‘수곡지해(水穀之海)’라고 한다. 또 원기(元氣)는 위장(胃腸) 기운에 의존한다 하여 위장(胃腸)을 ‘후천지본(後天之本)’이라고도 한다. 선천적으로 아무리 튼튼하게 태어났더라도 후천지본(後天之本)이 부족하면, 얼굴이 초췌해지고 혈색(血色)이 없으며 무기력(無氣力)해지고 몸이 야윈다. 그리고 오장육부(五臟六腑)의 활동이 영양부족(營養不足)으로 부진해 지고, 정신까지 활성화 되지 못하며, 질병에 노출되기 쉽고, 온갖 생명활동이 온전히 보전될 수 없다. 위장(胃腸)이 약하여 음식물을 받아들이는 작용이 순조롭지 못하면 식사하기가 싫고, 소화(消化)도 안 되어 그득하며, 위통(胃痛)이 있다. 이것이 .. 2024. 4. 30. 내장(內臟) 기능 건강 진단하기 방광(膀胱)의 강약은 콧구멍에서 빠져 나오는 바람의 세기로 알 수 있다. 콧바람이 세면 방광(膀胱)이 강하고, 콧바람이 약하면 방광(膀胱)도 약하다는 것이다. 또 방광(膀胱)이 약하면 콧망울 주위가 누런빛을 띠고, 발뒷꿈치와 발바닥이 유달리 아프다. 위장(胃腸)의 강약은 어떻게 알까? 목이 굵고 유방(乳房)과 가슴이 발달해 있다면 위장(胃腸) 용적이 크고 기능도 좋다. 아울러 배꼽 밑이 불룩하고 탄력이 있으며 복벽(腹壁)이 두껍다면 더욱 좋다. 엄지손가락 쪽 손바닥 살집은 물고기 배를 닮았다고 해서 ‘어복(魚腹)’이라고 하는데, 이 어복(魚腹)이 도톰하고 색이 좋다면 위장(胃腸)기능이 좋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곳의 살집이 얇고 푸른색이 돋아 있으면 위(胃)기능이 약한 것이다. 또한 명치끝이 푹 꺼졌.. 2024. 4. 23. 어디가 피로한가에 따라 건강 확인하기 아침에 일어날 때 피로(疲勞)하다면 신경계(神經系) 이상에 의한 피로(疲勞)일 수 있으며, 과로(過勞)도 안했는데 오후만 되면 움직이지 못하게 피로(疲勞)하면 질병(疾病)일 수 있다. 이렇듯 피로(疲勞)한 부위가 어딘가에 따라 건강(健康)을 확인해 볼 수 있다. 가령 눈이 피로(疲勞)하다면 간(肝)이 약한 것이고, 눈 주위에 붉은 핏줄이 서면 심장(心臟)이 약한 것이다. 눈꺼풀이 붓고 눈물이 많아지며 집중력이 떨어지면 비장(脾臟)에 이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아래 눈꺼풀이 붓고 눈이 침침하고 어지러우면 신장(腎臟)기능을 점검해야 한다. 이가 들뜨고 시큰거리면서 피로(疲勞)하면 위장(胃腸)과 대장(大腸)에 이상이 있는 것인데, 특히 윗니가 피로(疲勞)하면 위(胃)가 나쁘고, 위의 어금니가 피로(疲勞)하면.. 2024. 4.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