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월경통2

월경불순(月經不順)에는 복숭아씨 구한말(舊韓末)에 황성신문(皇城新聞)에서 꽃 좋고 열매 좋은 복숭아꽃을 국화(國花)로 삼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얘기가 있었다. 그럴 정도로 복숭아는 옛날부터 우리 생활에서 사랑을 받아 왔고 봄을 상징하는 데도 복숭아꽃이요, 요염한 미색(美色)을 형용하는 데도 도홍색(桃紅色)의 복숭아꽃이었다. 더구나 무릉도원(武陵桃源)이니 선도(仙桃)이니 천도(天桃)이니 하여 복숭아와 선도(仙道)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인상을 주기 때문에 복숭아 열매의 로맨틱한 모습 자체도 무심하게 보이지 않는다. 기녀(妓女) 이름에 홍도(紅桃)니 도화(桃花)가 많은 것은 고사하고 신라시대의 선도성모(仙桃聖母)와 도화낭(桃花娘)만 보아도 얼마나 복숭아가 친근한 과일인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무슨 연유에서인지 복숭아나무를 목지정(木之.. 2025. 11. 13.
월경불순(月經不順), 월경통(月經痛)에 ◉ 샤프란 – 혈액(血液)을 잘 굳지 않게 해, 월경곤란증(月經困難症)을 완화한다. 꽃의 수술을 뺀 것인데, 1g을 만들려면 150개 이상의 꽃이 필요한 값비싼 스파이스이다. 혈액(血液)을 잘 굳지 않게 하는 작용이 있어서, 경혈(經血)을 늘려 줌과 동시에 자궁(子宮)을 수축시켜 월경통(月經痛) 같은 월경곤란증(月經困難症)을 가볍게 한다. ◉ 메리골드 – 월경(月經) 기간을 조절하며, 월경(月經) 전 증후군에 좋다. 국화과의 1년초이다. 허브티로 마시는데 쓰기 때문에 카모마일 같은 것과 섞어서 마시기 쉽게 한다. 경혈량(經血量)이나 월경(月經) 기간을 조절해주며 월경(月經)을 가볍게 한다. 월경(月經) 전 증후군에 효과가 있다. 월경(月經) 1주일 정도 전부터 마시기 시작하면 효과적이다. 감기(感氣)의 .. 2024. 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