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우울증2

수험생들의 불안(不安), 초조(焦燥), 우울증(憂鬱症)은 양파로 다스릴 수 있다. 수험생들의 심신불안증(心神不安症)을 일률적으로 표현하기는 어렵다.  개인차가 심하니까, 호소하는 증상들도 그만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으로 요약할 수 있다.  두통(頭痛), 두중(頭重), 두현(頭眩)의 증상들이다.  두통(頭痛)은 두통(頭痛)이되 쪽머리라고 불리는 편두통(偏頭痛)은 드물고, 백회(百會) 경혈과 양쪽 태양(太陽) 경혈을 잇는 삼각형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향이 크다.  백회(百會) 경혈은 정수리 정중앙 부위이고, 태양(太陽) 경혈은 눈초리 끝과 귀 사이의 오목한 부위로 좌우 두 곳에 있다.  이것을 잇는 삼각형 부위니까 두통(頭痛)의 호소 범위는 주로 정수리로부터 이마, 눈 뿌리, 관자놀이 둘레가 된다.  그러나 두통(頭痛)보다는 두중(頭重), 두현(頭眩)을 호소하는 경.. 2025. 1. 14.
우울증(憂鬱症)에 특효인 음양곽(淫羊藿)은 정력강장제(精力强壯劑)이다. 우울하고 의욕이 감퇴되어 울증(鬱症)이 나타날 때에는 음양곽(淫羊藿)이 좋다.  옛 중국 사천 북부 지방에 하루에도 백회 이상 교미하는 색정이 강한 숫양이 있었는데, 이 음란한 양은 교미를 끝내면 콩잎 같은 풀을 뜯어먹고 정력(精力)을 회복한 뒤 광적인 교미를 거듭했기 때문에 이 최음(催淫)의 풀을 음양곽(淫羊藿)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바로 이 음양곽(淫羊藿)이 우울증(憂鬱症)의 치료가 된다.  울증(鬱症)을 풀고 의욕을 돋우며 머리를 맑게 하고 삶의 보람을 추구하게 하는 신비의 약효를 발휘하는 것이다.  물론 음양곽(淫羊藿)은 강력한 강정제(强精劑)이다.  혹설엔 옛날 한 노인이 이 풀을 먹고는 짚고 있던 지팡이를 내던지고 부랴부랴 집에 달려와 할머니 품에 안겼다는 기적 같은 얘기가 전해올 정도.. 2024. 11.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