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가피2 오가피(五加皮), 연꽃씨, 연밥으로 술도 담그고, 떡도 만들어 먹으면 좋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장수식품(長壽食品)으로 23종의 약재와 식품을 소개하고 있다. 그 중에는 토끼마저 이 풀을 뜯어 먹으면 바람이 난다는 토사자(菟絲子)를 비롯해서 사슴이 즐겨 먹고 장수(長壽)한다는 황정(黃精), 그리고 800세를 살았다는 신선(神仙) 팽조(彭祖)가 즐겨 먹었다는 구기자(枸杞子) 등이 있는가 하면, 오가피(五加皮), 오디, 연밥, 가시연밥, 잣 등이 있다. 오가피(五加皮)는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노화(老化)를 이겨낸다.’는 약초다. 오가피(五加皮) 뿌리와 줄기를 끓여서 그 물에 누룩을 넣고 술 담그는 법 그대로 술을 빚어 먹으면 보익(補益)한다고 알려져 있다. 누룩으로 술을 빚기 번거롭다면 오가피(五加皮) 300g에 소주 1.8ℓ를 붓고 밀봉하여 1~2개월 숙성시킨.. 2025. 2. 18. 오가피(五加皮), 새우 - 태양인(太陽人)에게 맞는 음식 ◉ 오가피(五加皮) - 다리에 힘이 없어 불편할 때, 오가피(五加皮)가 좋다. “오가피(五加皮)는 두 다리가 아프고 마비되는데, 골절(骨節)이 오그라드는데, 마비(痲痺)와 앉은뱅이 따위를 다스린다. 세 살 난 소아(小兒)가 걷지 못하는데 이를 쓰면 다니게 된다.”라고 했다. 그러니까 오가피(五加皮)는 다리에 힘이 없어 보행에 불편을 겪기 쉬운 태양인(太陽人)에게 잘 맞는 약재라고 이제마(李濟馬)는 말했다. 본초구진(本草求眞)에는 ‘풍(風)이 강하면 근육(筋肉)과 뼈가 오그라들고, 습(濕)이 강하면 근육(筋肉)과 맥(脈)이 늘어지고, 남성(男性)의 음위증(陰痿症)과 낭습증(囊濕症), 그리고 여성(女性)의 음부소양증(陰部搔痒症)과 소아(小兒)의 다리가 풀려 힘이 없어지고 거기에다 허리 아래가 찬 병이 겹치면.. 2023. 10.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