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농본초경3

신경쇠약(神經衰弱) 다스리는 정력제(精力劑) - 菟絲子 토사자(菟絲子)는 새삼이라는 기생식물의 씨이다. ‘菟絲子 處處有之 多生豆田中 無根假氣而生 細蔓黃色 六七月結實 極細如蠶子 九月採實 暴乾 得酒良 仙經俗方 亦以爲補藥’ 토사자(菟絲子)는 곳곳에 있으며 흔히 콩밭에 많이 생기며 뿌리가 없이 딴 식물에 기생하여 사는 식물이다. 황색(黃色)의 가느다란 줄기이며 음력 6~7월에 결실하며 씨앗은 누에알처럼 아주 잘다. 9월에 채취하여 볕에 말려서 약(藥)으로 하는데 술과 같이 사용하면 좋다. 선도(仙道)의 처방이나 민간약에서나 모두 보약(補藥)으로 사용한다. ‘添精益髓 治莖中寒精自出 亦治鬼交泄精 爲末服 作丸服皆佳’ 토사자(菟絲子)는 정력(精力)을 더해 주며 골수(骨髓)를 충실하게 하여 준다. 음경(陰莖)에서 아무 감각 없이 정액(精液)이 흘러나오는 증상이라든가 .. 2025. 9. 17.
상약(上藥)은 독성(毒性)이 없어 오래 먹어도 사람을 다치지 않는다. - 三品藥 사람의 생명(生命)과 건강(健康)에 있어서 약(藥)이란 무엇인가? 병(病)을 치료(治療)하는 데는 꼭 약(藥)이 있어야만 하는가? 먹을수록 몸에 이로운 보약(補藥)이라는 것이 과연 있는 것일까? 이런 의문을 지니고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나오는 ‘삼품약성(三品藥性)’을 읽어보기로 한다. 약(藥)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상품약(上品藥), 중품약(中品藥), 하품약(下品藥)의 삼품(三品)으로 분류하는 놀라운 발상이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시작되었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 된 약물학(藥物學) 서적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은 후한(後漢) 때에 나온 것으로 되어 있으며 365종의 약품(藥品)이 삼품(三品)으로 나누어져 올라 있다. ‘三品藥性 : 上藥一百二十種 爲君主 養命以應天 無毒 多服久服不傷人欲輕身益.. 2025. 7. 20.
금슬(琴瑟)을 좋게 하는 원앙환(鴛鴦丸)이라는 명약이 있다. 원앙환(鴛鴦丸)이라는 처방은 사상자(蛇床子), 파고지(破古紙), 육종용(肉蓯蓉)을 같은 비율로 섞어 가루 내어 꿀로 반죽하여 청심환(淸心丸) 크기로 알을 빚어 술로 하루 한두 차례 복용하는 처방이다.  중국 한(漢)나라 때 성제(成帝)라는 황제가 밤마다 운우지정(雲雨之情)에 빠지다가 그 황홀감에 지쳐 복상사(腹上死)했다는 처방인 ‘신솔교’라는 처방을 더 강화하여 만든 것이 원앙환(鴛鴦丸)이다.  원앙(鴛鴦)처럼 금슬(琴瑟)이 좋아져 한시도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조루(早漏)에 좋고 정액(精液)의 양이 한두 방울에 불과하거나 정액(精液)이 멀건 상태를 다스려서 희열(喜悅)의 감격을 느끼게 해 주는 처방이다.  남성의 귀두(龜頭)가 차디차고 고환(睾丸) 밑이 축축하고,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새큰하며, .. 2025. 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