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불면증3

사람은 밥보다 잠을 더 참아내지 못한다. - 老少之睡不同 사람의 건강(健康)에 있어서 잠을 잘 잔다는 것처럼 중요한 것이 없다. 밥은 굶어도 며칠을 살 수 있지만, 잠을 자지 못하고는 생명(生命)을 지탱할 수 없다. 그렇다고 잠을 잘 자기 위하여 수면제(睡眠劑)를 남용하다가는 영원히 잠들게 되는 수가 있으니 어찌 무섭지 않은가? 요즘 숙면(熟眠)의 생리가 뇌파(腦波) 등을 측정하여 세밀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완전한 숙면(熟眠) 시간은 그다지 길지 않아도 충분하니 잠을 잘 때에는 전후불각(前後不覺)으로 완전하게 수면(睡眠)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노소지수부동(老少之睡不同 : 노인과 젊은 사람은 잠자는 것이 다르다.)”라는 제목 아래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老人之不夜瞑 小壯之不晝瞑者何氣 壯者之氣血盛 其肌肉滑 氣道通榮衛之行不失其常故 .. 2025. 5. 12.
잠을 이루지 못해 고생할 때는 초저녁에 깜박 졸다 깨면 한밤을 그냥 꼬박 새우는 사람이 있다.  그런 상태에서 이른 아침부터 부산히 움직이려니까 자연 짜증이 날 수 밖에 없다.  걱정거리로 잠을 못 이루거나 열대야로 불면(不眠)을 경험한 분들은 잘 알겠지만, 불면증(不眠症)만큼 괴로운 적은 없다.  고문 중에 가장 큰 고문 같이 괴롭다.  소음 따위의 강한 자극이나 여행 중일 때 또는 심한 공복(空腹)이나 포만(飽滿)이 원인이 되어 일시적으로 불면(不眠)이 되기도 하는데, 이런 원인이 중복 반발하면 지속적 불면(不眠)이 된다.  그리고 어떤 질환에 의해 통증이 뒤따를 때나 내분비(內分泌) 활동이 저하될 때, 신경쇠약(神經衰弱), 소화장애(消化障碍) 등에 의해서도 지속적 불면증(不眠症)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원인을 찾은 다음 그에.. 2024. 6. 16.
잠이 오지 않거나, 불안할 때 ◉ 장미 – 항우울(抗憂鬱), 해독(解毒), 항균(抗菌) 작용도 있다. 장미 중에서 약용(藥用)으로 이용되는 것은 갈리카 로즈, 켄디폴리아, 다마스크 로즈 같은 품종의 꽃잎이다. 항우울(抗憂鬱)이나 해독(解毒), 항균(抗菌) 등 여러 가지 약효가 있지만, 가장 큰 것은 진정(鎭靜) 작용으로 신경(神經)이 흥분되어 잠이 오지 않을 때 로즈티를 마시면 잘 잘 수 있다. ◉ 라벤더 – 편두통(偏頭痛)이나 초조감(焦燥感)을 완화시킨다. 향기가 강한 꽃이나 잎을 허브티로 마신다. 신경(神經) 이완(弛緩)에 효과가 있어서 스트레스를 없애 준다. 초조감(焦燥感)이나 편두통(偏頭痛), 스트레스성 고혈압(高血壓) 등 스트레스 때문에 생기는 증상을 완화시킨다. 장(腸)에 가스가 찰 때 생기는 복통(腹痛)이나 복부팽만감(腹.. 2024. 1.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