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복숭아잎2

월경불순(月經不順)에는 복숭아씨 구한말(舊韓末)에 황성신문(皇城新聞)에서 꽃 좋고 열매 좋은 복숭아꽃을 국화(國花)로 삼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얘기가 있었다. 그럴 정도로 복숭아는 옛날부터 우리 생활에서 사랑을 받아 왔고 봄을 상징하는 데도 복숭아꽃이요, 요염한 미색(美色)을 형용하는 데도 도홍색(桃紅色)의 복숭아꽃이었다. 더구나 무릉도원(武陵桃源)이니 선도(仙桃)이니 천도(天桃)이니 하여 복숭아와 선도(仙道)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인상을 주기 때문에 복숭아 열매의 로맨틱한 모습 자체도 무심하게 보이지 않는다. 기녀(妓女) 이름에 홍도(紅桃)니 도화(桃花)가 많은 것은 고사하고 신라시대의 선도성모(仙桃聖母)와 도화낭(桃花娘)만 보아도 얼마나 복숭아가 친근한 과일인가를 알 수 있다. 그러나 무슨 연유에서인지 복숭아나무를 목지정(木之.. 2025. 11. 13.
비듬이 많아 고민일 때는 비듬은 체질(體質), 정신적 긴장, 계절적 영향 및 노화(老化)에 의해 벗겨진 두피(頭皮) 각질층(角質層)에 먼지, 세균(細菌), 피지선(皮脂腺) 기능 이상에 의해 지나치게 기름기가 섞여 생긴다.  비듬의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풍열(風熱)성 비듬은 건조하고 머릿결도 거칠고 잘 빠지며 두피(頭皮)가 가렵다.  습열(濕熱)성 비듬은 지루성이며 머리카락이 끈적거리고 번쩍이며 잘 빠진다.  혈열(血熱)성 비듬은 비듬이 덕지덕지 쌓이고 탈락과 신생을 반복하며 두피(頭皮)가 붉고 가렵다.  그리고 체력쇠약(體力衰弱)성 비듬은 회백색이고 모발(毛髮)이 건조해 잘 부러지며 두피(頭皮)가 가렵다.  이러한 경우에는 새박뿌리를 쓴다.  옛날 중국의 하씨라는 사람이 이것을 먹고 머리가 까마귀처럼 까맣게 되고 윤기 나.. 2024. 8.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