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에좋은과일1 성악가(聲樂家)는 배를 먹어라. ‘梨 性寒 味甘酸 無毒 除客熱 止心煩 消風熱 除胸中熱結 渴者宣之 尤治酒渴 然多食 令人寒中 金瘡産婦尤不可食’ 사과는 성질이 온(溫)하다고 하였으나 배는 성질이 차거나 냉(冷)한 것이라고 표현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열(熱)이 나서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渴症)이 나는데 먹으면 좋고 특히 술 취한 후의 갈증(渴症)에 좋다. 그러나 많이 먹으면 뱃속이 냉(冷)해져서 소화불량(消化不良)이 되며 쟁기에 다쳐서 상처가 생겼을 때 또는 산부(産婦)는 먹지 말아야 한다. 한자(漢字)의 음(音)으로 따져서 ‘이자이야(梨者利也)’라는 말이 있다. ‘이(利)’는 여기서는 이롭다는 뜻이 아니라 ‘下行 流利’의 뜻이 되어 뱃속을 냉(冷)하게 하며 훑어 내린다는 의미가 되니 과식(過食)하면 설사(泄瀉), 소화불량(消化不良) .. 2025. 11.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