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녹각5

중국 궁중에서 애용하는 강정주(强精酒) – 녹용주(鹿茸酒) 녹용(鹿茸)에 관한 약효를 좀 더 자세히 보면 “몽설(夢泄)과 설정(泄精)을 그치게 하며, 근육(筋肉)과 뼈(骨)를 장(壯)하게 하고, 노인으로 하여금 새로 치아(齒牙)가 나게 하고 흔들리는 이를 단단하게 하며, 여자의 하혈(下血)과 적백대하증(赤白帶下症)을 고치며, 신허(腎虛)를 보(補)하고 허리와 음부(陰部)의 냉(冷)한 것을 다스린다.” 등의 지극히 매력적인 문구가 나열되어 있다. 러시아에서는 일찍부터 녹용(鹿茸)의 알코올 추출액을 약용(藥用)으로 상품화하여 판토크린(pantocrin)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에 날렸다. 그것 역시 약효는 일반 허약증(虛弱症) 및 강정(强精)이라고 하고 있으나 이렇다 할 성분상의 근거는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동물실험에서 부교감신경(副交感神經)을 흥분시키는 .. 2025. 10. 29.
정력(精力)을 절제 없이 소모해도 병(病)이 된다. 칭기즈칸 후예로 중원을 장악했던 원(元)나라는 14대 순제(順帝)가 반란군 손에 목이 잘려 죽게 되는 것을 끝으로 멸망했다.  순제(順帝)의 황음무도(荒淫無道)한 생활이 나라를 멸망시킨 원인인데, 그는 한때 과색(過色)으로 극도의 피로(疲勞)를 느꼈으며 안면(顔面)이 창백해지고 허리가 무지근하며 양 무릎에 힘이 없고 걸핏하면 숨이 차고 무기력(無氣力)했다고 한다.  과색(過色) 끝에 얻은 병(病)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진주(珍珠)를 가루로 내어 호랑이 기름으로 개어 약(藥)을 빚어 먹기 시작했다고 하는데, 약(藥)은 달콤하면서 시원했고 복용할수록 정신(精神)이 한결 개운해지면서 피로(疲勞)도 말끔히 씻어지는 듯싶었고 정력(精力)도 회복되어 갔지만, 36명의 ‘원앙보(鴛鴦譜)’라는 미녀를 옆에 둔 이상 .. 2025. 1. 5.
뼈를 튼튼하게 하려면 녹각죽(鹿角粥)이 좋다. 신선(神仙) 팽조(彭祖)는 800여 살을 살았다고 하는데, 그가 가장 강력한 정력제(精力劑)로 손꼽았던 것이 녹각(鹿角)이다.  소녀경(素女經)에서 성신경쇠약(性神經衰弱)에 효과적인 처방으로 제시한 것도 녹각(鹿角)이 주재료인 녹각산(鹿角散)이라는 처방이고, 퇴계(退溪) 이황(李滉) 선생도 그의 저서 활인심방(活人心方)에서 뛰어난 보양식(保養食)으로 권하고 있는 것도 바로 녹각(鹿角)이 주재료인 녹각죽(鹿角粥)이다.  녹각(鹿角)은 뇌(腦)를 보하고, 골수(骨髓)를 충만하게 하며, 치아(齒牙)를 고르게 하고, 정액(精液)과 혈액(血液)을 보익하며, 원기(元氣)를 강하게 하는 약재이다.  그래서 만성소모성(慢性消耗性) 질병의 회복의 회복기에 좋고, 노인성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이나 발기부전(勃起不全)에도 .. 2024. 11. 15.
골다공증(骨多孔症)엔 도랑탕이 좋다. 골다공증(骨多孔症)이란 뼈가 바람이 든 것처럼 뼈 조직에 구멍이 생기면서 물렁해져서 부러지기 쉬운 상태가 된 것을 말한다.  허리가 은은히 아파오거나 등 한가운데가 함께 아픈 것이 특징인데, 등이 구부러지면서 점점 키가 작아지게 되고, 쉽게 골절(骨折)을 일으킨다.  물론 동맥경화증(動脈硬化症)을 일으키는 원인 질환이 되는 것도 골다공증(骨多孔症)이다.  골다공증(骨多孔症)에는 첫째 칼슘이 필요하므로 우유, 치즈, 뼈째 먹는 생선, 멸치, 달걀, 미역 등을 많이 먹는 것이 좋다.  그런 의미에서 녹각(鹿角)이 좋다.  녹각(鹿角)은 뇌(腦)를 보하고, 골수(骨髓)를 충만하게 하며, 치아(齒牙)를 견고하게 하고, 정액(精液)과 혈액(血液)을 보익하며, 원기(元氣)를 강하게 하는 약재로 노인성 피부소양증(皮.. 2024. 10. 23.
산후(産後) 유방(乳房) 질환이 있을 때 산모(産母)의 혈액(血液)이 유선(乳腺)의 상피세포(上皮細胞)로부터 가공 생산, 분비되는 것이 젖이다.  특히 분만(分娩) 후 2~3일간 물 같이 반투명하고 끈적한 황색의 젖이 나오는데, 이 초유(初乳)에는 지방, 단백질, 칼슘이 많고, 면역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꼭 먹이도록 한다.  그러나 초유(初乳)가 끈적한 황색이 아니고 묽고 누렇거나 화농(化膿)이나 동통(疼痛)이 있을 때는 돼지족발에 상추씨와 감초(甘草)를 넣고 끓인 후 그 물에 쌀을 넣어 죽을 쒀 먹는다.  상추씨를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와거(萵苣)라 하였는데, 유즙(乳汁) 분비 작용이 강하다.  유두종창(乳頭腫脹)은 유두(乳頭)의 피부점막(皮膚粘膜) 및 유관(乳管)에 생기는 부스럼 형태의 염증(炎症)으로, 가렵고 아프며, 헌 데가 잘 낫.. 2024. 7.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