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근시2

망원(望遠) 훈련 되풀이하면 노화(老化)를 방지할 수 있다. - 老人眼昏 흔히 하는 말에 사람이 늙는 징조는 ‘눈(目), 이빨(齒), 신(腎)’에 나타난다고 한다. 아무리 겉으로는 젊어 보이는 사람일지라도 나이는 속일 수 없어 40대에 들어서면서 맨 처음 나타나는 징조가 시력(視力)이 나빠지는 것이다. 책을 들고 있는 손이 벌써 멀찌감치 떨어지게 된다. 눈의 조절력(調節力)이 저하되는 것이 40~45세경부터 시작된다. 그것이 노안(老眼)이라는 것인데 가까운 것을 볼 때 수정체(水晶體) 렌즈의 초점(焦點)을 맞추는 능력이 나빠지는 것이다. 그 다음에 나타나는 노화(老化) 현상이 치아(齒牙)가 나빠지는 것이며 다음이 신(腎)의 힘이 빠지는 것이다. 돋보기안경을 쓰지 않으려고 오기를 부려보지만 누구보다도 자기 자신이 시력(視力)이 떨어지는 것을 통절하게 느끼게 마련이다... 2025. 9. 24.
결명자(決明子)는 충혈(充血)된 눈을 맑게 한다. - 讀書損目 언제나 독서(讀書)는 필요하다. 그런데 옛날과 달라서 요즘 인쇄물이 글씨가 너무 잘고 색채가 자극적이어서 눈이 피로(疲勞)하기 쉬우며 머리가 무겁고 눈이 아파지며 때로는 속이 메스꺼워지기까지 하는 안정피로(眼睛疲勞)가 되기 쉽다. 더군다나 생활환경이 복잡하게 되어 TV를 장시간 보거나, 환각적이면서도 원색적인 사이키델릭(Psychedelic) 무대를 보는 등의 눈을 혹사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신경성인 안정피로(眼睛疲勞)가 많다. 이와 같은 치료는 안과(眼科)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면으로도 고찰하여야 한다. 생활태도, 정신상태 등을 고쳐서 건전하고 규칙적인 생활을 하도록 하는 것도 시력(視力)의 건강(健康)을 위하는 한 방법이 되겠다. 그러나 좀처럼 회복되지 않는 안정피로(眼睛疲勞)가 있을.. 2025. 9.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