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골수2 영양식품(營養食品)으로 가장 우수한 것이 골수(骨髓)이다. - 牛髓 빈혈(貧血), 노화방지(老化防止)의 영양식품(營養食品)인 수(髓)란 뼈 속의 골수(骨髓)를 말한다. 골수(骨髓)가 생명(生命)에 중요하다는 것은 우리 속담의 “골수(骨髓)에 사무친다.”라는 말로 잘 표현되고 있다. 뼈 속에 살이 찐다는 말의 반대로 뼈 속이 말라 시들어지면 건강(健康)이 쇠퇴하게 된다. 골수(骨髓)는 적혈구(赤血球), 백혈구(白血球) 등을 만들어 내는 중요한 구실을 한다. 빈혈(貧血)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골수(骨髓) 기능을 자극하여 골수(骨髓)에 영양(營養)을 공급하는 약(藥)이나 식품(食品)을 사용해야 한다. 소의 골수(骨髓)를 높이 치고 있다. ‘牛髓主 五勞七傷’ 소의 골수(骨髓)는 오장(五臟)의 쇠약(심로(心勞)에 의한 혈손(血損), 간로(肝勞)에 의한 신손(腎損), 비.. 2025. 7. 12. 뼈를 튼튼하게 하려면 녹각죽(鹿角粥)이 좋다. 신선(神仙) 팽조(彭祖)는 800여 살을 살았다고 하는데, 그가 가장 강력한 정력제(精力劑)로 손꼽았던 것이 녹각(鹿角)이다. 소녀경(素女經)에서 성신경쇠약(性神經衰弱)에 효과적인 처방으로 제시한 것도 녹각(鹿角)이 주재료인 녹각산(鹿角散)이라는 처방이고, 퇴계(退溪) 이황(李滉) 선생도 그의 저서 활인심방(活人心方)에서 뛰어난 보양식(保養食)으로 권하고 있는 것도 바로 녹각(鹿角)이 주재료인 녹각죽(鹿角粥)이다. 녹각(鹿角)은 뇌(腦)를 보하고, 골수(骨髓)를 충만하게 하며, 치아(齒牙)를 고르게 하고, 정액(精液)과 혈액(血液)을 보익하며, 원기(元氣)를 강하게 하는 약재이다. 그래서 만성소모성(慢性消耗性) 질병의 회복의 회복기에 좋고, 노인성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이나 발기부전(勃起不全)에도 .. 2024. 11.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