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력에좋은약4

누에 수나방 정력제(精力劑)로 사용 - 原蠶蛾 동물성 생약으로 해구신(海狗腎), 녹용(鹿茸) 등을 비롯해서 여러 가지 있지만 성분이라든가 약리작용이 아직 밝혀지지 못하고 있으며 그만큼 동물성 생약 연구에는 어려움이 많다. 효력을 믿는 사람은 천금을 아끼지 않는 사람도 있는 반면 순전히 심리적인 암시 효과 이상의 무엇이 있겠느냐고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많다. 누에고치를 뚫고 나온 나방, 그 중에서도 수컷을 즉시 죽여서 말린 것을 원잠아(原蠶蛾)라고 하여 정력제(精力劑)가 된다고 한다. 수나방은 나오자마자 교미(交尾)를 시작하여 종일을 계속하며 한 놈이 수십 마리의 암나방을 상대로 하는 스테미너를 지니고 있다고 되어 있다. ‘原蠶蛾 重養蠶 俗呼爲晩蠶 取蛾去趐足 微炒用 壯陽事 止泄精 尿血煖水藏 益精氣 强陰道 令交接不倦’ 원잠아(原蠶蛾)는 두.. 2025. 9. 19.
복령(茯苓) 소나무 뿌리에 불완전 버섯류로 기생(寄生)하는 것이 복령(茯苓)이다.  이 균체(菌體)는 소나무의 정령(精靈)을 온통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어, 이것을 상복하면 불로장생(不老長生) 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도 책머리에 복령(茯苓)을 소개하고 있을 정도이다.  복령(茯苓)을 약용으로 쓸 때는 껍질을 벗기고 심을 뺀 후 깨뜨려서 물그릇에 넣고 잘 으깨어 물 위로 떠오르는 찌꺼기를 제거한다.  이를 복령적근이라고 하는데, 만일 이를 잘못 복용하면 시력(視力)이 나빠질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그러한 까닭에 환약(丸藥)을 만들거나 가루약을 만들어 복용하고자 할 때는 먼저 2~3차례 끓여낸 후 절단하여 잘 말려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복용법으로 경험후방(經驗後方)에서는 복령(茯苓)을.. 2025. 3. 8.
정력(精力)을 살리는 처방 몇 가지 뱀밥풀(뱀도랏)은 미나리과의 두해살이풀로 뱀이 이 풀 덩굴에 몸을 서리고 이 씨를 즐겨 먹는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그래서 이 씨를 약명으로는 사상자(蛇床子)라고 한다.  강정(强精)작용이 대단한 약재로 알려져 있다.  실험적으로 사상자(蛇床子) 엑기스는 남성호르몬 같은 작용을 하며 최음(催淫)작용을 한다.  또한 자궁(子宮) 및 난소(卵巢)의 무게를 증가시킨다는 것도 밝혀졌다.  그래서 명의별록(名醫別錄)에는 ‘부인의 자궁(子宮)을 뜨겁게 하고 남자의 음력(淫力)을 강하게 한다.’고 했으며, 본초강목(本草綱目)에도 ‘비록 남자뿐만이 아니라 여자에게도 이익이 된다.’고 하면서, ‘세상 사람들은 이 같은 효능이 있는 사상자(蛇床子)를 모르고 외국이나 먼 곳에서 보약(補藥)을 찾고 있다.’고 개탄하고 있다... 2025. 2. 22.
육종용(肉蓯蓉)이라는 정력제(精力劑)는? 육종용(肉蓯蓉)은 양귀비(楊貴妃), 그리고 중국의 많은 궁녀들이 은밀히 애용했다고 전해져 내려오는 약재로 일명 ‘사막의 인삼(人蔘)’으로 불리고 있다.  주로 중앙아시아의 높은 산 음지(陰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기생식물의 하나이다.  이것을 정력증강(精力增强)의 요약(要藥)으로 사용하게 된 것은 그의 생김새가 남성의 그것과 너무 흡사할 뿐 아니라 그 끈적거림 정도나 냄새마저 남성의 그것과 너무 닮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고양이 이것을 즐기기 때문에 이 약물 속에 성(性) 유인물질(誘引物質)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까닭이었을 것이다.  사실 육종용(肉蓯蓉)은 교감신경(交感神經)을 강하게 하고 고환(睾丸)을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땅 속의 정기(精氣)를 듬뿍 흡수한 금덩어리같.. 2025. 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