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스파라거스2 스트레스로 미열(微熱)이 날 때 수험생들도 직장인 못지않게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다. 이렇게 스트레스가 쌓이면 신진대사(新陳代謝)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기능적 무형의 응어리가 맺히는데, 이를 ‘간기울결(肝氣鬱結)’이라 한다. 이때에는 미열(微熱)이 생기며 양 뺨과 이마가 발그스레하게 홍조(紅潮)를 띠는데 뚜렷한 발열(發熱) 상태가 아니므로 그냥 지나치기 쉽다. 그대로 방치하면 머리가 무겁고 멍해지며 어지럽고 심한 피로(疲勞)를 느끼게 된다. 또 눈이 충혈(充血)되거나 침침해지고 귀가 울리며, 입이 마른 증상이 나타난다. 콧속도 건조해져 코딱지가 잘 생기고 그러다보니 코피가 잘 난다. 또한 간기울결(肝氣鬱結)은 비위장(脾胃腸) 소화기(消化器) 기능을 정상 궤도에서 일탈시켜 비장(脾臟) 기운은 상승하는 대신 아래로 내려가 가.. 2024. 9. 1. 당뇨병(糖尿病)에 대한 기본 상식을 알아두자. 세종대왕도 엘비스 프레스리나 헤밍웨이 그리고 에디슨도 모두 당뇨(糖尿) 환자였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또 소변(小便)을 본 자리에 개미떼가 모여들면 당뇨(糖尿)임을 알 수 있다는 사실도 모르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당뇨병(糖尿病)은 ‘달콤한 소변(小便)’을 보는 병으로 혈당(血糖)이 높아 포도당(葡萄糖)이 많이 섞인 소변(小便)이 나오기 때문이다. 일란성 쌍둥이 가운데 한명이 당뇨(糖尿)이면 다른 한명도 당뇨(糖尿)가 되듯이 이 병은 유전성(遺傳性)이 강하며, 비만(肥滿), 과식(過食), 운동부족(運動不足), 스트레스 증가, 설탕 과잉 섭취 등도 원인이 된다. 또한 췌장(膵臟) 질환, 갑상선(甲狀腺) 기능항진(機能亢進) 등의 질병이 있을 경우에도 당뇨(糖尿)가 되며, 호르몬 약도 원.. 2024. 8.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