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솔교2 말벌벌집으로 만든 약이 복상사(腹上死)를 예방한다. 성행위 도중의 돌연사(突然死)를 복상사(腹上死)라고 한다. 일명 ‘상마풍(上馬風)’이라고도 하며 ‘색풍(色風)’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복상사(腹上死)는 흉측한 죽음, 즉 흉사(凶事)로 보기보다는 행복한 죽음, 즉 길사(吉事)로 여기는 경향이 있었지만 어차피 죽음이란 슬프고도 애석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런 돌연사(突然死)는 관상동맥경화증(冠狀動脈硬化症) 등 어떤 병변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심장(心臟)의 혈액(血液) 공급이 원활치 못한 상태에서 성적흥분(性的興奮), 과음(過飮), 심한 스트레스 등의 자극을 받았을 때 갑자기 심장(心臟)의 근육(筋肉)이 마비(痲痺)를 일으켜서 오는 현상이다. 특히 비만체(肥滿體)이거나 애연가(愛煙家), 애주가(愛酒家)가 위험인물이며, 최음(催淫) 효과의 미약(媚藥.. 2025. 1. 6. 해삼을 이용한 음식보약 “부부화합에 매우 좋은 음식이다.” 해삼(海蔘)은 칼슘과 철분이 풍부하여 빈혈(貧血)을 보(補)하고, 치아(齒牙)와 골격(骨格)의 형성을 도우며, 근육(筋肉)의 정상적인 수축과 혈액(血液) 응고(凝固)에 절대적 도움이 되는 음식이다. 그래서 성장기(成長期) 어린이나 임신부(姙娠婦)에게도 좋은데 특히 부부(夫婦)가 함께 먹으면 부부화합(夫婦和合)과 금실(琴瑟)이 좋아지는 신비한 효능이 있다. 말린 해삼(海蔘)은 보통 해삼(海蔘)보다 단백질이 32%나 증가하기 때문에 말린 해삼을 넣은 요리는 예로부터 중국에서도 신선(神仙)들이 먹는 음식이라고 했을 정도다. 한방서적에 보면 ‘의부인’이라고 해서 임신부(姙娠婦)와 부녀자(婦女子)에게 좋다고 했는데 그 이유는 해삼(海蔘)의 콘드라이친이라는 성분 때문이다. 이 콘.. 2024. 2.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