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술마시는방법2 술이 신장(腎臟)으로 들어가 독(毒)이 된다. - 不宜粗速 공자(孔子)님 말씀에 “가이속이속 가이구이구(可以速以速 可以久而久 : 빨라야 할 것은 빨라야 하고, 늦어야 할 것은 늦어야 한다.)”라는 것이 있다. 세상일에는 빨라서 좋은 것이 있고, 빨리 서둘러서는 안 되는 것이 있다. 식사, 술, 담배는 되도록 천천히 시간을 들이는 것이 좋은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무엇이 그렇게도 급한지 식사시간이 너무 짧고 술을 지나치게 빨리 마시는 습성이 있다. 간(肝)에서 알코올(alcohol)이 처리되는 속도에 맞추어 술을 마시면 아무리 오랜 시간 술을 마셔도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데 소나기 내리 듯이 술잔이 왔다 갔다 하다 보면 무리가 되어 건강(健康)을 해치게 된다. 담배도 성급히 태우면 니코틴(nicotine) 흡수량이 아주 많아진다는 연구가 있다. ‘飮酒不宜及.. 2025. 6. 9. 술, 어떻게 마시는 것이 좋을까? 술은 백약지장(百藥之長), 즉 온갖 약 중에 가장 으뜸가는 약이라고 한다. 하지만 지나치면 오히려 해가 되므로 1일 최대 허용량은 체중 1㎏당 순수 알코올 0.7㎎이 적당하다. 그렇다고 최대 허용량을 매일 마셔도 된다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음주 후 3일은 쉬어야 한다. 또한 술은 천천히 마셔야 알코올의 흡수량과 배설량의 밸런스가 맞아서 좋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필히 유념하여 술의 최대 허용량도 넘지 말고 쉬는 날도 늘려야 한다. ☞ 혼자 술 마시는 것을 즐기거나, 자기 연민에 빠져 술로 해결하려 할 때☞ 해장술로 속을 달래려 할 때☞ 취기가 오르면 물마시듯 술에 탐닉할 때☞ 취중 기억이 끊긴 경험이 있을 때☞ 술 때문에 대인관계나 할 일에 지장을 줄 때☞ 술을 깨면 진땀이 나거나 손 떨림이.. 2024. 10.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