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살구술1 살구와 살구씨의 약효는 다음과 같다. 예전에 ‘동봉(童奉)’이라는 명의(名醫)가 있었다. 그는 단순한 의사가 아니라 인술(仁術)을 베풀던 훌륭한 분이였다. 그래서 치료비를 받는 대신 집집마다 살구나무 한 그루씩을 심게 했다. 어느덧 세월이 흐르자 집집마다 살구꽃이 흐드러지게 피게 되었고, 마을 마을마다 살구 열매가 탐스럽게 열렸다고 한다. 그 후로 그 인근 마을까지 질병 없이 잘 지내게 되었다고 한다. 요즘도 ‘동봉(童奉)’의 살구나무 숲을 기리는 뜻에서 인술(仁術)을 베푸는 의사를 ‘행림(杏林)’이라 부르고 있다. 그래서 동양에선 ‘살구나무 숲이 있는 곳에는 염병(染病)이 돌지 않는다.’는 말이 떠돌게 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살구는 전염병(傳染病)을 예방하는 효과가 대단하다고 한다. 그래서 한식(寒食)이나 단오(端午)날이면 .. 2024. 12.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