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반룡환2

양기(陽氣)가 허(虛)할 때는 호두(胡桃)가 좋다. 인체에는 생체 활동을 추진해 주는 열에너지원이 있다.  이를 양기(陽氣)라고 한다.  양기(陽氣)가 허(虛)해지면 열에너지원이 바닥났으니 추위를 잘 탄다.  꽃샘추위에도 오슬오슬 떤다.  손발이 냉(冷)하다.  소변(小便)은 맑고 양이 많으며 횟수가 잦다.  그래서 잠자다 말고 수세 차례 소변(小便)보느라 일어나다 보니 숙면(熟眠)을 취할 수 없다.  걸핏하면 설사(泄瀉)를 하거나 대변(大便)이 묽고, 식사했다 하면 뒤가 무지근해서 잘 나오지도 않는 대변(大便)을 보느라 애를 쓴다.  귀울림, 시력감퇴(視力減退), 어지럼증, 가슴 두근거림이 나타나고 머리카락이 몰라보게 희어지거나 하고 집중력(集中力)이나 판단력(判斷力)도 떨어진다.  잠도 숙면(熟眠)을 취하지 못한다.  몽정(夢精), 조루증(早漏症) 등.. 2025. 1. 2.
골다공증(骨多孔症)을 예방하려면 골다공증(骨多孔症)은 뼈에 구멍이 생기면서 물렁해져 부러지기 쉬운 상태의 질병으로, 중년 이후 뼈가 노화(老化)될 때 쉽게 일어나며 특히 갱년기(更年期) 여성에게 많다.  하지만 골다공증(骨多孔症)은 뼈가 약하게 타고난 경우나 지나치게 다이어트를 강행한 경우 또는 교통사고나 타박상 등으로 뼈에 무리가 주어진 경우 등에도 나이와 관계없이 젊은 남녀 누구에게서나 흔히 나타날 수 있다.  또 혈액(血液) 내의 칼슘이 부족하게 되면 뼛속 칼슘이 혈액(血液) 내로 빠져나가 뼈가 약해지며, 후천적 영양 보충 역할을 하는 비장(脾臟)이 약해져 있거나, 혈액(血液)을 저장하는 간장(肝臟)의 기능이 약해져 있거나, 또는 호르몬 기능을 포괄하는 신장(腎臟) 기능이 약해진 경우에도 골다공증(骨多孔症)이 온다.  골다공증(骨.. 2024.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