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두충6

정력(精力)을 살리는 처방 몇 가지 뱀밥풀(뱀도랏)은 미나리과의 두해살이풀로 뱀이 이 풀 덩굴에 몸을 서리고 이 씨를 즐겨 먹는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그래서 이 씨를 약명으로는 사상자(蛇床子)라고 한다.  강정(强精)작용이 대단한 약재로 알려져 있다.  실험적으로 사상자(蛇床子) 엑기스는 남성호르몬 같은 작용을 하며 최음(催淫)작용을 한다.  또한 자궁(子宮) 및 난소(卵巢)의 무게를 증가시킨다는 것도 밝혀졌다.  그래서 명의별록(名醫別錄)에는 ‘부인의 자궁(子宮)을 뜨겁게 하고 남자의 음력(淫力)을 강하게 한다.’고 했으며, 본초강목(本草綱目)에도 ‘비록 남자뿐만이 아니라 여자에게도 이익이 된다.’고 하면서, ‘세상 사람들은 이 같은 효능이 있는 사상자(蛇床子)를 모르고 외국이나 먼 곳에서 보약(補藥)을 찾고 있다.’고 개탄하고 있다... 2025. 2. 22.
남성도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가 있다. 갱년기(更年期)라고 하면 흔히 여성 갱년기(更年期)를 생각하게 된다.  그만큼 여성에게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가 많이 나타난다는 얘기다.  여성이 갱년기(更年期)에 접어들면 아이도 못 낳고, 단지 하나의 빈껍데기가 되는 듯한 생각에 빠져 들게 된다.  이런 감정에서 비롯되는 여성의 갱년기(更年期), 신경질환(神經疾患)을 텅 빈 자궁(子宮) 탓이라 해서 ‘빈 둥지 증후군’이라고도 한다.  그렇다면 자궁(子宮)이 없는 남자에게는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가 없을까?  아니다.  남성에게도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가 있다.  여성만큼 드러내 놓고 얘기를 하지 않을 뿐이지 수많은 남성들이 갱년기장애(更年期障碍)로 갖가지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육체적 기능 저하와 함께 삶의 허탈이 심리적, 육체적 증상을 일으키기 때.. 2025. 1. 13.
간장(肝臟)과 신장(腎臟)이 약해지면 성욕(性慾)도 떨어진다. 간신음허(肝腎陰虛)란 상호 자생 관계에 있는 간장(肝臟)의 음액과 신장(腎臟)의 음액이 동시에 부족해지고 허약해진 것을 말한다.  그렇게 되면 어지럽고, 머리가 부풀어 터질 듯 팽창하는 것 같으며, 눈이 침침해져서 잘 보이지 않게 되며, 귀가 울리거나 청력(聽力)장애가 온다.  밤이면 입이 말라 잠자리 곁에 물을 떠 놓아야 하며, 몸에 열(熱)이 있고, 특히 손발이 화끈거려 이불 속에 발을 넣고 자지를 못한다.  치아(齒牙)가 들떠서 흔들거리는 듯 하고, 허리가 아프거나 새큰거리면서 무릎까지 힘이 없고 아프다.  온몸의 뼈 마디마디가 모두 약해진 듯 느껴진다.  몽정(夢精)이나 조루(早漏), 또는 발기부전(勃起不全)이 올 수 있으며, 소변(小便)이 붉고 양이 적으면서 찔끔찔끔 자주 보고 대변(大便)은 굳.. 2025. 1. 12.
요통(腰痛)에는 부추술과 청아환(靑娥丸)이 좋다. 요통(腰痛)은 인간이 직립 동물인 이상 숙명적인 질환이라고들 한다.  그래서 요통(腰痛)은 5명중 1명이 겪고 있는 병이라고 할 정도로 많다.  요통(腰痛)은 좌골신경통(坐骨神經痛), 요부신경통(腰部神經痛),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을 비롯해 소화기(消化器) 질환이나 비뇨기(泌尿器) 질환 도는 부인과(婦人科) 질환 때도 흔히 볼 수 있으므로, 요통(腰痛)의 원인이 무엇인지 분명히 진단받고 대책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허리에서 다리까지 당기고 아픈 것, 허리가 차면서 아픈 것, 비올 것을 신통하게 예보하면서 아픈 것, 밤이면 더 심하게 아픈 것, 성기능(性機能) 저하를 수반하며 아픈 것 등 요통(腰痛)을 10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이중 성기능(性機能.. 2024. 11. 24.
허리가 아프다.(腰痛, Lumbago) 허리 병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그중 가장 대표적이며 심각한 질환이 허리디스크라고 할 수 있다. 허리디스크는 정확한 병명으로는 ‘척추(脊椎) 추간판(椎間板) 탈출증(脫出症)’이라고 하며, 허리뼈를 받쳐주고 있는 섬유성 조직이 밀려 나와 옆의 신경(神經)을 눌러 통증이 생기는 척추(脊椎)질환이다. 허리디스크는 책상에 앉아 오랫동안 똑같은 자세로 일을 하거나, 갑자기 허리에 무리가 가게 하거나, 또는 비만(肥滿)으로 허리에 부담이 클 경우에 많이 생길 수 있다. 직장인들에게 많이 오는 증세로, 허리의 통증이 지속되면 단순한 요통(腰痛)이려니 생각하고 그냥 두지 말고, 정확한 진단을 받아 더 심하게 진행되기 전에 뿌리를 뽑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 돼지콩팥두충찜 – 신허(腎虛)로 허리가 조이듯.. 2023. 10. 23.
두충(杜冲) 두충(杜冲)의 원산지는 중국(中國)이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 의하면 옛날에 성이 두(杜)씨이고 이름이 중(仲)이라는 사람이 이 나무의 껍질과 잎을 차로 달여 먹고 도(道)를 통했다고 해서 그 사람의 성과 이름을 따 나무의 이름을 두중(杜仲)이라고 붙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우리 한의계에서는 옛날부터 전량을 수입하여 사용해 왔는데, 국내의 서울 홍릉 수목원에 처음 심었던 나무가 씨를 퍼뜨린 것이 이제는 전국에서 재배되어 충분히 자급자족되므로 비교적 싼값에 일반에게 보급되고 있는 것은 매우 다행한 일이다. 두충(杜冲)은 당두충, 원두충 등으로도 불리는데 나무껍질이 정품이다. 잎이나 잔가지도 약효가 없는 것은 아니나, 대개 잎 종류는 성질이 가벼워 피부에는 잘 가나 근육 내의 힘줄이나 골격 조직 깊숙한 곳.. 2023. 8.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