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4

키스도 문자를 쓰면 회진법(廻津法)의 일종이다. - 廻津法 ‘眞人曰 常習不唾地 盖口中津液 是金漿玉醴 能終日不唾常含而嚥之 令人精氣常留 面目有光’ 옛날 진인(眞人)이 있어 말하되 언제나 침을 땅에 뱉지 않는 습성을 지녀야 하며 무릇 입 속의 침은 금장옥례(金漿玉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소중한 것이며 하루 종일 밖으로 뱉지 않고 계속 삼키면 사람의 정기(精氣)가 몸 속에 보존되어 얼굴에 광택(光澤)이 생긴다. 사람의 몸에서 생기는 진액(津液)이 피부(皮膚)에서는 땀이 되고, 눈에서는 눈물이며, 살에서는 혈액(血液)이며, 신(腎)에서는 정액(精液)이고, 입에서는 침이 되는데, 한혈누정(汗血淚精) 등은 한번 나가면 모두 되돌아오지 못하나 오직 입 속의 진액인 침만은 되돌려 순환시킬 수 있으며 “회회즉생생(廻廻則生生)”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침을 뱉지 않고 되.. 2025. 4. 24.
입안에 생긴 침은 인삼(人蔘), 녹용(鹿茸)보다 좋은 보약(補藥)이다. - 玉泉 인체(人體)는 여러 가지 분비물이 잘 나와야 건강(健康)하며 분비가 잘 되지 않고 고갈되면 병(病)이 생긴다. 그런 분비물을 진액(津液)이라고 하는데 눈물, 콧물, 정액, 위액, 장액, 침 등이 그것이다. 사람이 늙어 쇠퇴하면 진(津)이 마른다라는 형용을 쓰는 것도 이치가 있는 말이다. 젊었을 때는 손발에 땀이 나서 주체를 할 수 없는 사람도 늙으면 손발이 깨끗하게 말라서 냄새가 날래야 날 수가 없게 된다. 침은 언제나 입 속을 윤택하게 또는 청결하게 하는 작용이 있고 전분(澱粉)을 소화(消化)시키는 효소(酵素)가 들어 있다. 살균(殺菌)작용도 있어 우리가 상처가 생기면 무의식적으로 입으로 빠는 것도 이치가 있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있다. 타액(唾液)을 분비하는 타액선(唾液腺)에서 타액.. 2025. 4. 23.
목에서 어깨까지 다 아플 때는 중년 남녀, 특히 중년 여성은 목에서 어깨까지 무겁고 아플 때가 많다.  이런 증상은 봄, 여름보다는 가을, 겨울에 더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무리하게 일을 해서 근육(筋肉)이 뭉쳐 일어날 수도 있지만 목뼈의 이상이나 어깨 자체의 이상에 의해서도 온다.  또는 고혈압(高血壓)이나 저혈압(低血壓)일 때, 동맥경화증(動脈硬化症)이나 빈혈(貧血)일 때, 심장질환(心臟疾患)이나 당뇨병(糖尿病), 비타민 결핍일 때도 올 수 있으므로 우선 어떤 원인에 의한 것인지 진단 결과를 확실히 해둘 필요가 있다.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는 ‘흉곽출구증후군’이라는 것이 있다.  갈비뼈와 빗장뼈 사이의 좁은 통로를 통하여 동맥(動脈)과 정맥(靜脈)이 드나들며 목의 척수(脊髓)에서 나온 신경다발도 이 통로를 통하여 팔로 나오.. 2024. 8. 1.
침(鍼, Acupuncture)의 효과 침술(鍼術)은 동양의학(東洋醫學)에서도 가장 신비스러운 부분이다. 그 침술(鍼術)이 서구의 자연과학(自然科學)과 만나면서 신비의 베일을 벗고 있다. 많은 서양의학자들이 침술(鍼術)을 연구하고 있으며, 중국(中國)도 60년부터 침(鍼)의 과학화(科學化)를 시도해 왔다. 침(鍼)을 놓는 경락(經絡)의 존재는 아직 해부학적(解剖學的)으로 입증이 되지는 않았지만, 인체(人體)는 물론 말과 소의 경락(經絡)까지도 만들어진 상태이다. 경락(經絡)에 바늘을 찔러 넣었을 때의 전기저항을 측정한 결과, 피부(皮膚)의 전기저항이 나아지는 것이 확인이 되어, 경락(經絡)의 실제적 존재는 증명이 된 셈이다. 한때 침술(鍼術)이 플라세보(Placebo), 즉 암시(暗示)에 의학 ‘그럴싸한 효과’가 아니냐는 해석도 있었으나, 동.. 2023. 11.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