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음식궁합2

궁합이 맞는 음식을 먹으면 수명(壽命) 연장이 가능하다. 남녀의 궁합을 볼 때 흔히 두 사람은 상생(相生)한다느니, 또는 살(殺)이 껴서 상극(相剋)이라느니 하는 말들을 한다.  음식에도 상생(相生)의 관계를 갖는 음식이 있다.  돼지고기와 배추, 굴 등이 그것이다.  반대로 상극(相剋)의 관계를 갖는 음식이 있다.  땅콩과 고구마, 수삼(水蔘)과 생률(生栗) 등이 그것이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에 대한 내용이 엄청나다.  그만큼 음식 궁합을 중요시한 증거다.  한편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이런 말이 있다.  ‘사람의 장수(長壽)와 요절(夭折)은 천명(天命)에 따라 결정된다.’  ‘소위 천명(天命)이란 천지(天地), 부모(父母)의 원기(元氣)다. 아비는 하늘이요, 어미는 땅과 같아서 부정(父精), 모혈(母血)의 족함과 모자람이 다.. 2024. 12. 13.
의서(醫書)에 나오는 음식궁합(飮食宮合) 음식궁합(飮食宮合)을 알고 나면 먹었을 때 서로 좋은 영향을 미치는 음식들과 좋지 않은 음식에 대한 옛 선인들의 탁월한 지혜가 놀랄만큼 발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서 에서는 ‘아욱을 먹는데는 마늘을 쓴다. 마늘이 없으면 먹지 말라.’고 했을 정도로 선조들도 아욱과 마늘을 즐겨 먹었다. 반면 이라는 의서를 보면 멀리해야 할 식품에 대해 언급했는데, 눈이 붉은 생선과 눈을 감은 생선, 물에 넣으면 떠오르는 돼지고기, 고기에 붉은 점이 있는 것, 건조시킨 고기가 말라 있지 않은 것, 발을 펴지 못하는 닭이나 들새, 뜨거운 음식을 구리에 담을 때 그 음식에 땀방울이 맺히는 것은 먹지 말라고 했으니, 오늘날에도 참고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는 이야기다. ◉ 장희빈과 꿀 탄 게장의 비밀 숙종의 총애를 받았던 .. 2024. 2.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