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오미2

음식(飮食)은 담백해야 몸이 상쾌하다. - 五味過傷 자극성(刺戟性)이 너무 강한 음식(飮食)을 많이 먹으면 위장(胃腸)이 손상되고 소화(消化)기능이 나빠져서 원기(元氣)를 잃게 되기 쉽다. 또 흔히 한약제(韓藥劑)는 합성약품과 달라서 모두 자연물이기 때문에 부작용(副作用)이 적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잘못 먹으면 역시 몸에 해롭다. ‘凡食物中忌食 大鹹 大辛 蒜韮五辣 醋 大料物 薑桂之類 皆傷元氣 藥中澤瀉 茯苓 猪苓 燈心 琥珀 通草 木通 滑石之類皆瀉陽氣 勿服之’ 음식(飮食) 중에서 삼가야 할 것은 너무 짠 것, 너무 매운 것, 마늘, 부추, 자극성 식품, 식초(食醋), 팔각회향(八角茴香), 생강(生薑), 계피(桂皮) 등은 지나치면 모두 원기(元氣)를 상하게 한다. 약(藥) 중에서는 택사(澤瀉), 복령(茯苓), 저령(猪苓), 등심(燈心), 호박(琥珀), 통초.. 2025. 6. 5.
건강(健康)을 다스리는 것은 한 나라를 다스리는 것과 같다. - 人身猶一國 편식(偏食)이 모든 병(病)의 원인이 된다는 것은 동서고금(東西古今) 다름이 없다. 현대 영양학적으로 표현한다면 콜레스테롤이 어떻고 비타민이 어떻고 할 터이지만 옛사람들은 음식물을 다섯 가지 맛으로 나누어 이 오미(五味)를 한 쪽에 기울어지지 않게 균형을 맞추어 음식을 섭취해야만 건강(健康)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하였다. 오미(五味)란 쓴맛(苦), 매운맛(辛), 단맛(甘), 신맛(酸), 짠맛(鹹)을 말하며 음식물뿐만 아니라 약(藥)의 약리작용도 맛을 보아 구별할 수 있다고 하였다. ‘酸入肝 腎入肺 苦入心 鹹入腎 甘入脾’ 신맛의 물질은 간장(肝臟)에 작용하고, 매운 것은 폐장(肺臟), 쓴 것은 심장(心臟)에, 짠 것은 신장(腎臟)에, 단 것은 비장(脾臟)에 각각 작용한다. 이 말은 사람에 따라서 식.. 2025. 4.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