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속쓰림2

감자는 비만(肥滿)예방, 충치(蟲齒)예방에 좋다. 감자를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감저(甘藷)’ 혹은 ‘마령서(馬鈴薯)’라는 한자로 표기하고 있다.  ‘마령서(馬鈴薯)’란 이름은 말방울을 닮았다는 데서 연유한 것인데 이 얼마나 귀여운 이름인가?  그리고 얼마나 앙증맞게 생긴 식품인가?  물론 감자를 ‘토두(土豆)’ 즉 땅속의 콩이란 뜻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그만큼 영양이 풍부하다는 얘기다.  프러시아의 프레드릭 대왕도 영양 좋은 감자의 성분과 건강을 지키는 효능을 알고, 전 국민에게 감자 먹기를 권한 적이 있을 정도니 감자의 영양가는 더 이상 설명할 필요가 없다.  그럼 감자의 효능을 하나하나 들어보자.  감자는 속쓰림에 좋다.  위산과다(胃酸過多), 위궤양(胃潰瘍) 등에 치료제로 쓰이는 것이 그 때문이다.  감자를 껍질 벗기고 눈을 도려내고 강판에 갈.. 2024. 12. 14.
소화성궤양(消化性潰瘍), 이런 방법이 효과적이다. 소화성궤양(消化性潰瘍)이란 위(胃) 및 십이지장(十二指腸)의 궤양(潰瘍)을 총칭하는 것으로 상당수가 슬픔, 분노, 공포, 걱정 등 7가지 정서적 변화로 간기능(肝機能)을 울결(鬱結)시켜 일어난다.  그러면 소화성궤양(消化性潰瘍)은 어떤 사람이 잘 걸릴까?  이 병은 융통성 없이 고지식하고,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빈틈없이 꼼꼼하고, 도덕적이며 책임감이 강하고, 자기 능력 이상을 성취하고자 안달하며, 식생활이 불규칙하거나 자극성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이 걸릴 확률이 높다.  주로 나타나는 증상은 속쓰림, 윗배 통증, 구역감 등이며, 때로 출혈(出血)이 있을 수 있다.  출혈(出血)은 토혈(吐血), 하혈(下血)로 나타나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출혈(出血)도 있다.  그리고 아스팔트 녹인 것처럼 검고 진득거리.. 2024. 5.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