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재 이야기

쑥(艾葉, 茵蔯, Korean wormwood)

by 예당한의원 2023. 10. 22.
반응형

야생에서 채취를 한 쑥잎을 깨끗이 세척을 해서 말린 후에 하얀 바닥에 쌓아 놓은 사진

 이른 봄의 쑥은 도시에서도 약수터 근처가 아니라도 흙만 있다면 어디에서나 얼굴을 내밀므로, 한가한 동네 아주머니나 할머니의 손길을 거쳐 쑥국도 끓여 먹고 찌개에도 넣고 쑥떡도 해 먹는 등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식물이다.

 

 그런데 이것은 식품 이외에도 약효(藥效)가 뛰어나서 정식 한약재(韓藥材)로도 사용되고 있다.

 

 쑥잎은 녹색이고 뒷면은 희며 오래되면 누렇게 변하는 등 그 색이 다양하다.

 

 또 잎이 두텁고 부드러워 사람으로 치면 온후하고 인정 많은 느낌을 가지게 하는 식물이다.

 

 그래서인지 쑥은 특별히 모나지 않고 여러 경우에 순순하고 무던히 잘 화해시키는 약(和藥)으로 분류되어 오고 있다.

 

인삼뿌리를 잔뿌리를 제거하고 잘 세척해서 바싹 말린 인삼뿌리와 황기뿌리를 잘 세척해서 바싹 말린 황기뿌리 통째와 그것을 편으로 잘라서 바닥과 검은 그릇에 가득 담아 놓은 사진
인삼, 황기

 쑥은 따뜻한 성질이라, 부인의 자궁(子宮)이 약()해서 약간만 무리하고 오래 서 있으면 하복부(下腹部)가 멍하니 하혈(下血)할 기미가 있거나 피()가 약간씩 비칠 때, 인삼(人蔘) 황기(黃芪)와 함께 마른 쑥을 하루에 15~30g을 자주 달여 먹으면 도움이 된다.

 

고동색 테이블 위에 나무 깔판을 깔고 그 위에 나무숟가락과 유리잔을 놓고 그 속에 쑥을 갈아서 즙을 내서 만든 쑥 생즙을 가득 담아 놓은 사진
쑥 생즙

 생즙을 내어 먹어도 된다.

 

 대개 부인(婦人)이 하혈(下血)을 하면, 나쁜 피()가 맺혔다 해서 이 어혈(瘀血)을 터뜨려 배설해야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 것 같다.

 

 그럴 경우도 있다.

 

 그러나 원래 피(), 그릇에 담아 놓은 피()가 저절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고, 젓가락으로 휘저어야 피()가 움직이듯이, 사람 몸속에서 피()가 생명 기운을 받아야 돌아다니는 것이다.

 

 그러므로 어혈(瘀血)이란 피()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기운(氣運)을 못 받아서 돌지를 못해서 생기는 것이니, 기운(氣運)을 통해 주는 것이 원칙이다.

 

 기운(氣運)이란 활동력(活動力)이니 따뜻한 것이다.

 

 피() 또한 따뜻해야 잘 움직이며, 차가워지면 순환이 잘 안 된다.

 

 그런데 허약(虛弱)하든지, 식생활(食生活)을 불규칙으로 해서 배가 차가워진 부인(婦人), 자궁(子宮) 주위 조직체의 모세혈관(毛細血管)도 수축하기 쉬우므로, 약간의 무리에도 출혈(出血)이 잘 발생된다.

 

 그러므로 심한 경우가 아니라면 쑥을 먹음으로써, 그 따뜻한 성질로 하복부(下腹部)를 데워서, 혈행(血行)을 부드럽게 하니 지혈(止血)이 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장()이 약해서, 배가 자주 아프다든지, 설사(泄瀉)를 자주 할 때도 도움이 된다.

 

 다만 스트레스를 풀지 못해 혼자서 잘 씨근덕거리는 사람은 가슴에 열()이 자주 느껴질 것이니, 이런 사람은 금()한다.

반응형

'약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방(韓方) 소화제(消化劑)  (39) 2023.11.26
해삼(海蔘, Sea cucumber)  (22) 2023.10.29
황기(黃芪) - 땀을 줄이는 약재  (6) 2023.10.21
대추(大棗)와 인삼(人蔘)  (0) 2023.10.08
두충(杜冲)  (2) 2023.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