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05

오장(五臟) 기능 살펴보기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 “심장(心臟)은 생명활동을 주재하고 일절 정신 의식 사유를 주관하며, 간장(肝臟)은 혈액(血液)과 영양물질을 저장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혈해(血海)인데, 간장(肝臟) 역시 감성 변화를 담당하고 있다. 그래서 분노(忿怒) 등 격렬한 자극을 받으면 간(肝)의 정상 기능에 영향을 미쳐 혈액(血液) 저장 작용을 유지 못해 출혈(出血)한다.”고 했다.  이렇게 오장(五臟)이 각각 어떤 정서 변화에 반응을 보인다는 사고는 특유의 사고로 지나친 기쁨은 심장(心臟)에 영향을 미치고, 분노(忿怒)는 간(肝)기능을 문란시키고, 지나친 슬픔은 폐(肺)기능을 저하시키며, 지나치게 생각에 골몰하면 비위(脾胃)가 상하고, 급격한 놀라움이나 두려움은 신장(腎臟)에 영향을 미쳐 호르몬 변화를 일으킨다.. 2024. 4. 26.
구토(嘔吐)하는 것만 봐도 병을 알 수 있다. 소리 안 내고 토(吐)하면 혈병(血病), 소리만 낼 뿐 안 토(吐)하면 기병(氣病)이다.  구(嘔)란 소리 내며 토(吐)하는 것이요, 토(吐)란 토(吐)하지만 소리가 없는 것이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헛구역은 소리만 나며 토(吐)하지는 않으나 손발이 차고 느침 뱉으며, 메스껍다는 것은 소리가 없고 게울 것 같으나 게우지 않고 음식을 보면 메슥거린다.”고 했다.  비위장(脾胃腸)이 약하면 맑은 물을 토(吐)하며 토(吐)한 후 갈증(渴症)이 없고 따뜻한 것을 찾지만, 열(熱)이 있으면 시큼한 악취(惡臭)가 나는 것을 토(吐)하고 목이 마르며 혀에 누런 태(苔)가 낀다.  그러나 냉(冷)하면 10에 8~9가 토(吐)하고, 열(熱)이 있으면 10에 1~2가 토(吐)한다고 한다.  담음.. 2024. 4. 25.
황달(黃疸)인지 아닌지 식별해 보자 황달(黃疸)은 눈동자가 노랗게 되는 것에서부터 점차 전신으로 퍼져나가므로, 눈동자 상태로 황달(黃疸)인지 아닌지 하는 것을 일차적으로 가름할 수 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황색이 선명하냐, 아니냐 하는 것으로 판단해 두 타입으로 나눈다. 즉 황색이 선명하면 양황(陽黃), 선명하지 않고 광택이 없으면 음황(陰黃)으로 간주했다. 양황(陽黃)은 병증이 비교적 중(重)하고 경과가 짧은 것이 특징이며, 음황(陰黃)은 완만하게 발병하여 경과가 길면서 비교적 경(輕)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양황(陽黃)이 만성되면 기혈소모(氣血消耗), 기혈응체(氣血凝滯)가 커져 음황(陰黃)으로 될 수 있다. 양황(陽黃) 중 습열성(濕熱性) 황달(黃疸)은 습열(濕熱)이 간장(肝臟)과 담낭(膽囊)에 영향을 줘 담즙(膽汁)이 피부(.. 2024. 4. 24.
내장(內臟) 기능 건강 진단하기 방광(膀胱)의 강약은 콧구멍에서 빠져 나오는 바람의 세기로 알 수 있다. 콧바람이 세면 방광(膀胱)이 강하고, 콧바람이 약하면 방광(膀胱)도 약하다는 것이다. 또 방광(膀胱)이 약하면 콧망울 주위가 누런빛을 띠고, 발뒷꿈치와 발바닥이 유달리 아프다. 위장(胃腸)의 강약은 어떻게 알까? 목이 굵고 유방(乳房)과 가슴이 발달해 있다면 위장(胃腸) 용적이 크고 기능도 좋다. 아울러 배꼽 밑이 불룩하고 탄력이 있으며 복벽(腹壁)이 두껍다면 더욱 좋다. 엄지손가락 쪽 손바닥 살집은 물고기 배를 닮았다고 해서 ‘어복(魚腹)’이라고 하는데, 이 어복(魚腹)이 도톰하고 색이 좋다면 위장(胃腸)기능이 좋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곳의 살집이 얇고 푸른색이 돋아 있으면 위(胃)기능이 약한 것이다. 또한 명치끝이 푹 꺼졌.. 2024. 4. 23.
손톱으로 건강 감정하기 건강한 손톱은 손톱 밑에 하얀 반월이 있어야 하며, 손톱 몸통은 난원형이며, 손톱 양 옆이 모나지도 너무 동글지도 않고 살집을 파고들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반월은 선명하고 몸통은 담홍색으로 윤택하고 주름이나 홈이 없어야 한다. 만일 손톱이 작고 위축되어 있다면 신경과민(神經過敏), 영양장애(營養障礙)에 의한 전신쇠약(全身衰弱)으로 판단된다. 특히 엄지손가락의 손톱이 이럴 경우, 뇌(腦)와 신경계질환(神經系疾患)에 걸리기 쉽고, 새끼손가락 손톱이 이럴 경우 생식능력(生殖能力) 결여로 불임증(不姙症)이 되기 쉽다. 여성 불임증(不姙症)이나 임포텐츠의 경우가 대개 새끼손가락 손톱이 이렇다. 또한 손톱이 얇고 연하며 무르면 정력(精力)이 부족하다는 징조요, 손톱에 두터운 층이 생겼으면 중병(重病)을 앓았거나 .. 2024. 4. 22.
손가락으로 건강 상태 체크하기 엄지손가락을 곧추 세워 손등 쪽으로 구부렸을 때 엄지손가락이 뒤로 많이 젖혀진다면 스태미나가 아주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엄지 끝이 뭉툭하면 뇌질환(腦疾患)이, 가늘면 신경질환(神經疾患)이나 소화질환(消化疾患)이 많다. 둘째손가락이 길고 뾰족하면 우울증(憂鬱症)이 있으며 소화기(消化器)가 약하고 정력(精力)이 떨어진다. 그리고 손끝이 네모나면 신경통(神經痛)이나 담석(膽石)에 걸리기 쉽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세 살이 안 된 어린이의 둘째손가락 안쪽 세 마디를 보아 어떤 색을 띤 혈맥(血脈)이 첫 마디에 있으면 병이 경증(輕症)이요, 둘째 마디까지 있으면 중증(重症), 셋째 마디까지 있으면 위험하다고 했다. 또한 이 혈맥(血脈)이 직선이면 열성질환(熱性疾患), 곡선이면 냉성질환(冷性疾患), .. 2024. 4. 21.
혀로 병의 위급함을 알아보기 혀가 자색(紫色) 혹은 광택 없는 검붉은 자색(紫色)으로 한증(寒證)과 열증(熱證)을 띠면 위급증(危急症)이다. 또 설태(舌苔)가 완전히 벗겨져 거울처럼 번질번질한 경면설(鏡面舌)은 위장(胃腸)의 음액(陰液)이 크게 손상된 것이기 때문에 예후가 안 좋다. 혀에 백태(白苔)가 낀 것 중 얇은 것은 경증(輕症)이고, 두텁게 낀 것은 병세가 중(重)하다. 비장(脾臟)의 열(熱)에너지가 허하면 설태(舌苔)가 눈꽃처럼 보이는데 위증(危症)이다. 혀가 회흑색(灰黑色)을 띤 것 중 회색(灰色)은 경증(輕症)이요, 흑색(黑色)은 중증(重症)에 속한다. 그리고 설태(舌苔)가 두부 같이 두텁게 끼고 긁으면 벗겨지지만 곧 두텁게 되는 것 중 급성병(急性病)에서 이런 설태(舌苔)가 구강(口腔) 전면에 걸쳐 번지면 예후가 나쁘.. 2024. 4. 20.
혀로 건강 진단하기 영추(靈樞)를 보면 “외부에 상응하여 나타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그 내장(內臟)의 변화를 예측하면 발생하는 질병을 알 수 있다.”라고 했다. 여기서는 혀와 혀의 태를 관찰하는 설진(舌診)으로 질병의 여부를 진단해 보자. 고대 중국 은나라 때의 갑골문자에도 관련 구절이 있을 정도로 오래된 방법인 설진(舌診)은 혓바닥의 본질인 설질(舌質)과 혀에 낀 설태(舌苔)의 두 방면에서 이루어진다. 단, 혀의 상태를 진찰할 때는 광선이나 음식물 등에 의한 태색(苔色) 오염이나 체질(體質) 관계도 고려해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설질(舌質)에서는 혓바닥의 생기, 색깔, 형태 등을 분별하고, 설태(舌苔)에서는 혀에 낀 이끼의 형태와 샐깔 등을 분별한다. 우선 설질(舌質)은 생기가 있고 광채가 있어야 한다. 설질(舌質)의 .. 2024. 4. 19.
인중(人中)으로 남녀의 병을 알아보기 인중(人中)은 코 밑과 윗입술 사이의 홈을 말한다. 이 부위가 길고 깊은 여성은 명기의 소유자이며, 이 부위가 짧고 희미하면 자궁(子宮)이 극도로 약하거나 불임(不姙)의 경향을 띤다. 또 이곳에 어떤 색깔이 뭉쳐있으면 방광(膀胱)이나 자궁(子宮)에 병이 있다는 증거이며, 이 부위에 종기(腫氣)가 나거나 기름을 바른 것 같이 습윤(濕潤)할 때는 생식기(生殖器)의 염증(炎症)이나 위장병(胃腸病)을 의심할 수 있다. 인중(人中)을 상중하로 나누어서도 병을 알 수 있다. 인중(人中) 상부에서는 남성 하복부(下腹部)의 질환이나 음경(陰莖) 뿌리 쪽 질환을 알 수 있고, 인중(人中) 중부에서는 음경통(陰莖痛)을 알 수 있으며, 인중(人中) 하부에서는 음경(陰莖)의 귀두(龜頭)쪽 질환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귀두.. 2024. 4. 19.
어디가 피로한가에 따라 건강 확인하기 아침에 일어날 때 피로(疲勞)하다면 신경계(神經系) 이상에 의한 피로(疲勞)일 수 있으며, 과로(過勞)도 안했는데 오후만 되면 움직이지 못하게 피로(疲勞)하면 질병(疾病)일 수 있다. 이렇듯 피로(疲勞)한 부위가 어딘가에 따라 건강(健康)을 확인해 볼 수 있다. 가령 눈이 피로(疲勞)하다면 간(肝)이 약한 것이고, 눈 주위에 붉은 핏줄이 서면 심장(心臟)이 약한 것이다. 눈꺼풀이 붓고 눈물이 많아지며 집중력이 떨어지면 비장(脾臟)에 이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아래 눈꺼풀이 붓고 눈이 침침하고 어지러우면 신장(腎臟)기능을 점검해야 한다. 이가 들뜨고 시큰거리면서 피로(疲勞)하면 위장(胃腸)과 대장(大腸)에 이상이 있는 것인데, 특히 윗니가 피로(疲勞)하면 위(胃)가 나쁘고, 위의 어금니가 피로(疲勞)하면.. 2024. 4. 18.
음체질인지, 양체질인지 구별하기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인체(人體)는 소우주(小宇宙)와 같다’고 하면서 설명하기를 “인체(人體) 내에도 우주 규율에 따라 수많은 생리적(生理的), 병리적(病理的) 변화가 끊임없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개인차가 현저해서 갑옷 입고 칼창을 휘두르며 말을 타고 달려도 땀이 안 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문 밖만 나가도 피곤하여 잘 걷지 못하는 사람도 있으니, 선천적 체질에 따라 서로 다른 것이 백 가지 천 가지 뿐이 아니다.”라고 했다. 이렇게 개인차가 심하나, 이를 집약하면 크게 음체질과 양체질로 나눌 수 있다. ◉ 음체질 음체질은 봄과 여름을 좋아하여 추위를 못 이기고 ‘봄 타는 병’을 잘 앓는다. 또한 손발이 차고 저리며, 아랫배가 냉(冷)하고 자궁(子宮)분비물이 심하며, 뱃속에서 꾸르륵거리는 경향이 있다.. 2024. 4. 17.
기(氣)와 혈(血), 무엇이 부족한지 알아보기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 “기(氣)와 혈(血)은 인체를 구성하는 신비로운 요소”라고 했다. 기(氣)는 각 조직(組織) 및 기관(器官)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생명활동(生命活動)을 충동하는 에너지이며, 질병(疾病)으로부터 인체(人體)를 보호하는 방위력이고, 대사(代謝)를 통괄, 조절하는 에너지이다. 그래서 기(氣)가 부족하면 자양력(滋養力)이 떨어져 전신이 무기력(無氣力)해지고, 피로(疲勞), 권태(倦怠)를 느끼며, 말하기도 싫고, 말을 해도 말에 힘이 없다. 또 호흡(呼吸)이 짧아 숨이 잘 차고, 조금만 움직여도 땀을 비 오듯 흘리며, 소화(消化), 배뇨(排尿), 배변(排便)이 상쾌하지 못하다. 게다가 성기능(性機能)도 떨어지고 항상 머리가 멍하거나 어찔하기도 한다. 한편 혈(血)은 혈액(血液)뿐 아니라 임파.. 2024. 4. 16.
수명(壽命)과 체질(體質)의 강약을 어떻게 알까? 코가 길고 높으며 턱이나 볼이 강건하게 윤곽이 뚜렷해야 장수(長壽)한다. 이는 호흡(呼吸)이 순조롭고 음식을 씹는 것이 완전하다는 증거이며, 영양(營養)과 질병(疾病) 방위력이 조화되어 있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 이에 비하여 코가 짧고 콧구멍이 밖으로 향해 크게 벌어졌으며, 호흡(呼吸)이 거칠고 숨결이 빠르며, 턱이나 뺨도 빈약하고 광택이 없으며, 빈혈(貧血)상태로 근육(筋肉)도 단단하지 못하면 수명(壽命)이 결코 길지 못하다. 한편 기혈(氣血)의 운행이 왕성하면 몸이 다소 쇠약해 보이더라도 체질은 강하다. 그리고 피부(皮膚)가 유연하고 어깨, 손목, 둔부(臀部), 대퇴부(大腿部) 등의 근육이 단단하며, 귀 둘레 골격이 융기되어 그 높이가 주위 근육보다 높으면 체질이 강하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얼.. 2024. 4. 15.
한방 다이어트의 여러 가지 ◉ 이침(耳鍼) 요법 이침(耳鍼) 요법이란 귀에 침(鍼)을 놓는 방법으로 귀의 위점, 내분비점, 신상선점 등 요긴한 포인트에 침(鍼)을 놓고 반창고로 고정시켜서 3~4일을 둔다. 이런 방법으로 10회 정도 반복하면 3㎏이상을 뺄 수 있는 것으로 임상 결과가 발표됐다. 한마디로 귀에 침(鍼)을 놓아서 식욕(食慾)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식욕중추(食慾中樞)를 자극하고 심리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어서 부작용이 없는 보조요법으로 많이 시술되고 있다. ◉ 칫솔 요법 혀는 맛을 감지하는 장치인데 여기에 이물이 끼면 정상적인 맛의 기준을 잃어서 단맛, 짠맛 등을 자꾸 요구하게 된다. 이때 칫솔로 혀를 닦으며 스트레스성 과식(過食)을 예방할 수 있고, 타액(唾液) 분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데 타액(唾液) 분비가 늘어.. 2024. 4. 14.
해파리와 매실(梅實) – 변비(便祕)를 해소하는 저칼로리 다이어트식 “궁합이 맞는 식품으로 다이어트 효고를 배가시킨다.” ◉ 해파리는 다이어트 식품으로 최고 해파리는 지방이 거의 없으며 저칼로리 식품이어서 비만증(肥滿症)인 사람에게 아주 좋은 식품이다. 씹히는 맛이 젤리와 비슷해서 영어로는 젤리피시라고 하며 냉채 재료로 적격이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 의하면 해파리가 목의 염증(炎症)을 식게 하고 소화불량(消化不良)을 낫게 한다고 한다. 특별한 맛이 없기 때문에 냉채로 만들어 먹을 때는 해파리를 주재료로 하여 배나 오이, 토마토 등 냉채에 어울리는 재료로 곁들이고 소스 맛을 강하게 내는 것이 비법이다. 그 소스 재료로 매실(梅實)을 이용하면 다이어트식으로 그 효과가 더욱 커진다. 이 냉채에 들어가는 매실(梅實)은 검게 태운 오매(烏梅)를 사용하는데 건재약국에 가면 구입할.. 2024.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