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재 이야기

매실(梅實)은 간(肝) 기능 보호, 서양에선 정력제(精力劑)로

예당한의원 2025. 11. 14. 00:39
반응형

야생의 매실나무의 줄기에서 잘 자라고 있는 초록색의 매실 열매 무리를 확대를 하여 찍은 사진
매실

 ‘망매지갈(望梅止渴)’이니, ‘상매소갈(想梅消渴)’이라는 말이 있다

 

 삼국지(三國志)에 조조(曹操)가 대군을 거느리고 남쪽을 정벌할 때 음력 6월이라 병졸들은 땀이 비가 오 듯 하여 땅이 젖을 지경이었다.

 

 목이 마르고 타서 거의 행군을 못하게 되었을 때 명령을 내려 조금만 더 가면 매림(梅林)이 있으니 빨리 가서 그늘에서 쉬면서 매실(梅實)을 따먹으라고 하였더니 그 말에 모두 입안에 저절로 침이 생겨서 목을 축이고 원기(元氣)가 백배하여 승전(勝戰)하였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아닌 게 아니라 매실(梅實)은 신맛이 특징이다.

 

 성분으로는 호박산(琥珀散), 구연산(枸櫞酸), 능금산, 주석산(酒石酸) 등의 각종 유기산(有機酸)을 비롯하여 사이토스테롤(sitosterol), 올레아놀산(oleanolic acid), 세틸알코올(cetyl alcohol) 등도 함유되어 있어 청량성수렴제(淸凉性收斂劑)가 되는 동시에 장내(腸內) 기생충(寄生蟲)에 대한 구충(驅蟲)작용도 있고 각종 경구전염병균(經口傳染病菌)에 대한 살균(殺菌)작용도 증명되고 있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매실을 엑기스로 만든 것을 동그란 유리병에 가득 담아 놓은 것을 나무 숟가락으로 한숟가락 떠 놓은 것을 유리병 입구에 걸쳐 놓은 것을 찍은 사진
매실 엑기스

 콜레라(cholerae)가 유행할 때 매실(梅實) 엑기스를 물에 타 먹으면 예방이 된다는 것도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특징은 그 산미(酸味)로 말미암아 타액선(唾液腺)이 자극되어 타액(唾液)의 분비를 왕성하게 한다는 점이다.

 

 타액(唾液)의 분비는 건강(健康)의 척도라고도 할 수 있어 건강(健康)이 왕성할수록 타액(唾液) 분비도 비례적으로 많은 법이다.

 

 건강(健康)한 사람일지라도 과로(過勞)하였거나 초조(焦燥)한 감정에 빠졌을 때는 입안이 마르고 또 병() 앓는 사람이나 노인들은 타액(唾液) 분비가 적어져서 음식 맛이 없고 입안이 타서 구취(口臭)가 나게 마련이다.

 

 임신(妊娠) 초기에 무턱대고 신 것이 좋아지는 것은 태아(胎兒) 형성에 필요한 칼슘 등의 섭취를 촉진하기 위해서이다.

 

 매실(梅實)은 우리나라에서는 소주에 담가 매실주(梅實酒)를 만드는 정도로 사용되지만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옛날부터 일상생활에 깊이 침투되어 있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매실을 소금과 자소엽을 넣고 절여서 만든 우메보시를 파란색 바닥 위에 동그랗고 파란 그릇에 6개 담아두고 찍은 사진
우메보시

 아직 덜 익은 청매실(靑梅實)을 씨를 빼고 불을 때어 연기에 그을려 말린 것을 오매(烏梅)라 하여 약()으로 사용하고 소금에 절인 것을 백매(白梅)라 하며, 일본에서는 소금에 절일 때 자소(紫蘇) 잎사귀를 같이 넣어 빨갛게 만든 것을 우메보시(梅干)라고 하여 자기네들의 독특한 보건 식재료라고 자랑하고 있다.

 

야생에서 채취를 한 청매실을 씨를 빼고 불을 때어 연기에 그을리고 말려서 만든 오매를 하얀 바닥 위에 10개 놓아두고 찍은 사진
오매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오매(烏梅)를 보면 ()을 제거하고 토역(吐逆)을 그치게 하고 갈증(渴症)과 이질(痢疾)과 열()과 뼈 쑤시는 것을 다스리며 주독(酒毒)을 풀고 상한(傷寒)과 곽란(霍亂), 조갈(燥渴)을 다스린다.”고 되어 있어 소화액(消化液) 분비를 좋게 해주고 간() 기능도 보()해준다고 되어 있다.

 

 서양 민간요법에서도 역시 매실(梅實)을 식욕촉진(食慾促進), 갈증(渴症) 멈추는데 사용하여 최음제(催淫劑), 즉 스태미나(stamina)를 강하게 하는데도 사용된다.

 

 자고로 호산자다음(好酸者多淫)’이라 하여 신 것 좋아하는 사람은 그 방면도 좋아한다는 것은 무슨 이치에서일까?

 

 청매실(靑梅實)을 찧어서 짜낸 즙을 햇볕에 또는 약한 불로 말려 진득한 엑기스를 만들어 팥알만큼씩 따뜻한 물에 타 마시면 청량음료(淸凉飮料)도 되고 약()도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