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증(渴症)을 풀어주고 소화(消化)를 돕는 궁중의 청량음료 – 醍醐湯
날씨가 덥고 온 전신이 나른하고 갈증(渴症)이 날 때 마시면 후련하게 가슴이 뚫리는 드링크제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우리 조상들의 계절에 따른 행사를 기록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를 보면 단오(端午) 때의 제호탕(醍醐湯)이라는 청량음료를 만들었다가 삼복더위 때에 복용한다는 풍습이 적혀 있다.
“內醫院造醍醐湯進供”, 조선조 때 대궐 안의 약(藥)을 관장하는 부서를 내의원(內醫院)이라고 하는데 거기서 제호탕(醍醐湯)을 만들어 바친다는 뜻이다.
상감께서는 이 제호탕(醍醐湯)을 받아 측근에 있는 관속(官屬)들에게 나누어 주어 여름철을 잘 지내게 하였다.
‘醍醐湯解暑熱止煩渴 烏梅肉另末一斤 草果一兩 縮砂 白檀香 各五錢 煉蜜五斤 右細末入蜜 微沸攪勻 磁器盛 冷水調服’
제호탕(醍醐湯)은 더워서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渴症)이 나는 것을 멈추어 준다. 오매육(烏梅肉), 초과(草果), 축사(縮砂), 백단향(白檀香)을 섞어 고운 가루로 만들어 꿀에 넣어 약한 불로 끓이면서 잘 휘저은 것을 사기항아리에 넣어 저장하여 두었다가 사용할 때에 적당량을 떠내어 냉수에 타서 마시면 된다.
오매(烏梅)는 매실(梅實)이 채 익지 않아 푸른 것의 과육(果肉)을 불로 그을려 말린 것인데 빛이 검다고 하여 오매(烏梅)라고 하며 그냥 소금에 적여서 말린 것은 백매(白梅)라고 한다.
동남아시아 사람들은 오매(烏梅)나 백매(白梅)를 마치 껌처럼 언제나 씹고 있는데, 배탈이 나지 않고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믿고 있다.
여러 가지 유기산(有機酸)이 들어 있어 청량성(淸凉性) 수렴제(收斂劑)가 되며, 한방(韓方)에서는 “더위를 물리치고 위장(胃腸) 기능을 튼튼하게 한다.”라고 되어 있다.
초과(草果)와 축사(縮砂)는 모두 생강과(生薑科)에 속하는 약초 열매이며 향기로우면서 위(爲)를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어 방향성(芳香性) 건위제(健胃劑)라고 한다.
백단향(白檀香)이라는 나무도 식욕(食慾)을 증진시키고 소화(消化)기능을 좋게 하는 작용이 있다.
이와 같은 약재를 가루로 만들어 꿀에 재두었다가 냉수에 타 먹는 것으로 되어 있다.
수정과(水正果)처럼 향기 좋고 맛이 나면서 위장(胃腸)에도 좋은 음료가 되니 실천해 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