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칼럼

비과학적인 처방으로 의외의 효과를 얻는다. - 不畏寒

예당한의원 2025. 8. 22. 00:14
반응형

하얀 바닥에 희고 동그란 알약과 분홍색의 알약, 노란색 알약, 하늘색 알약 그리고 흰색 캡슐과 고동색 캡슐 등을 가득 놓아두고 찍은 사진
양약

 새로운 약물(藥物)을 발견하는데 있어서 이론을 근거로 하여 이러이러한 물질이 약()이 될 것이라고 하여 그런 물질을 찾아내거나 또는 합성하여 만들어내는 방법이 있다.

 

 또 하나의 방법은 무턱대고 모든 물질을 하나하나 약리실험을 하여 찾아내는 방법이다.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이 얼른 보기에는 합당한 것처럼 보이지만 지금까지 인류가 개발한 특효약(特效藥)들은 대개 우연히 발견된 것들이 많다.

 

 옛날 처방(處方)을 보면 얼핏 황당무계(荒唐無稽)한 것처럼 보이는 것이 많으나 그렇다고 과학적으로 실험도 안한 채 무턱대고 나쁘다고도 할 수 없는 노릇이다.

 

하얀 바닥 위에 네모난 치즈 덩어리가 있고 그 옆에는 갈색의 쥐가 양 손으로 치즈를 잡고 뜯어 먹고 있는 것을 찍은 사진

 ‘集鼠 : 蟹燒之致鼠 蟹以黑犬血灌之 三日燒之 諸鼠畢至

 

 쥐를 모아들이는 방법 : 게를 태우면 쥐가 모여든다. 게에 검정개의 피를 뿌려서 3일 동안 태우면 틀림없이 쥐가 모여든다.

 

 게 껍질에 쥐를 유인하는 물질이 들어 있는 것은 아닐까?

 

 나방의 암컷이 있으면 수컷 나방이 수없이 모여드는데 연구한 결과 암컷 나방이 성유인 물질을 발산하기 때문이라는 것이 알려졌다.

 

 암컷 나방에서 추출해낸 성유인 물질을 봄비콜(bombykol)’이라고 하며 지금은 그 물질을 인공적으로 만들어내어 수컷 나방들이 모여들게 하여 죽여 버리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만약 게가 쥐를 유인하는 물질을 지니고 있다면 쥐약 개발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서양의 한 꽃밭에 지푸라기로 만든 허수아비가 양손을 번쩍 들고 밀집모자를 쓰고 있는 것을 찍은 사진
허수아비

 ‘辟果樹上烏烏法 : 取生人頭髮掛樹上 則烏烏不敢來食其實矣

 

 과일나무에 까마귀나 새가 오는 것을 쫓는 방법 : 산 사람의 머리칼을 취하여 나무 위에 걸어 놓으면 까마귀나 새가 감히 와서 과일을 먹는 짓을 못한다.

 

 나뭇가지에서 휘날리는 머리카락이 밭에 새운 허수아비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어 새를 쫓는 것은 아닐까?

 

야생에서 채취를 한 백복령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건조시킨 것을 고동색의 동그란 그릇에 가득 담아서 하얀 바닥 위에 놓아두고 찍은 사진
백복령

 ‘不畏寒 : 欲不畏寒 取天門冬 白茯苓等分 爲末酒服二錢 日再則 大寒時 單衣汗出

 

 천문동(天門冬)과 백복령(白茯苓)을 같은 분량씩 섞어 가루로 만들어 하루에 두 번씩 복용하면 엄동(嚴冬)에 홑옷을 입고도 땀을 흘린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