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맥산(生脈散)은 사람의 기력(氣力)을 용출하게 한다. - 生脈散
우리말로 “맥이 풀린다.”, “맥이 없다.”는 형용이 있다.
기운이 떨어져서 기운이 없다는 뜻을 맥이 풀린다고 하는 것이다.
여름철에는 더위에 지쳐서 맥이 풀리게 마련인데 맥이 생기게 하는 청량음료수(淸凉飮料水)를 우리 조상들은 알고 있어 하절(夏節)에는 으레 집에서 만들어 놓았다가 더위에 지친 가족에게 마시게 하였다.
생맥산(生脈散)이라는 처방이 바로 그것이다.
요새처럼 냉장고가 발달되어 있어 덥다고 무턱대고 얼음에 채운 청량음료수(淸凉飮料水)니 냉수(冷水)를 마셔서 배를 채우면 틀림없이 건강(健康)을 해치게 된다.
‘夏月多食冷物 過飮茶水 氷漿致傷脾胃 吐瀉癨亂 故治暑藥多用溫脾消食治濕 利小便之藥 須要識此意’
여름철에 냉(冷)한 것을 많이 먹거나 음료수(飮料水), 빙수(氷水) 등을 과음하면 비위(脾胃)를 손상시켜서 토사곽란(吐瀉癨亂)이 된다. 그러므로 더위를 다스리는 약(藥)은 비위(脾胃)를 덥게 하여 주고 소화(消化)와 습(濕)을 다스려 소변(小便)이 잘 나오게 하는 약(藥)을 많이 사용한다. 이와 같은 이치를 명심할지어다.
‘生脈散 : 麥門冬二錢 人蔘 五味子 各一錢 水煎 夏月代熱水飮之 或加 黃芪 甘草 各一錢 或加黃柏二分服之 則令人氣力湧出’
생맥산(生脈散) : 맥문동(麥門冬) 7.5g, 인삼(人蔘) 오미자(五味子)를 각각 4g을 물에 달여서 여름에 더운 물 대신 마신다. 또는 이 처방에 황기(黃芪)와 감초(甘草)를 각각 4g씩 추가하여 넣어도 좋고 또는 황백(黃柏) 0.8g을 가해 주어도 좋다. 생맥산(生脈散)은 사람으로 하여금 기력(氣力)을 용출하게 한다.
우선 맥문동(麥門冬), 인삼(人蔘)을 권하고 싶다.
모두 다 약효가 좋은 생약(生藥)들이며 특히 오미자(五味子)는 “하월상복오미자(夏月常服五味子) 이보오장기(以補五臟氣)”라고 하여 여름에 좋은 것으로 되어 있다.
꿀을 넣어 맛을 내면 아주 좋다.
원료는 건재약국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으니 요새 민속놀이 붐이 일어나고 있는데, 더위를 이겨내는 생맥산차(生脈散茶)를 달여 마시는 것도 멋있는 일이 아닐까?